로그인

검색

조회 수 3716 추천 수 0 댓글 2

 

 

IMG_1879.JPG

 

 

IMG_1894.JPG

 

 

시판사골육수, 돼지고기 갈매기살, 배추우거지, 된장양념으로 우거지탕을 푹 끓였다.

재료만 준비하면 우르르 넣고 푹 끓이면 끝이라 오리탕이나 감자탕과 비슷한 맛을 내는 것 치고는 많이 간단하다.

 

돼지고기는 쫄깃쫄깃한 갈매기살이 찌개나 탕에 잘 어울려서 좀 많이 사서 김치찌개도 해먹고 우거지탕에도 사용했는데 어느 부위를 사용해도 괜찮긴 하다.

말린 우거지는 아니고 푸른 겉잎을 데친 것을 사용했다.
요즘같이 배추 겉잎이 남는 계절에 딱이다.

 

 

오리탕과 감자탕의 중간적인 느낌인데 갈매기살 육질이 오리탕의 오리와 비슷해서 쫀득쫀득하게 먹기 좋다.

 

사골육수 베이스에 된장과 고춧가루로 구수하고 얼큰하면서도

들깻가루로 두터운 질감

부들부들한 우거지와 토란대
부드러우면서도 쫀득함이 남아있는 갈매기살
전부 다 맛있다.

 

 

 

재료 5~6인분


돼지고기 1.2키로

사골육수 1리터 (2팩)
물 1리터

 

배추겉잎 데치고 물기 짠 것 400그램(15장)
토란대 손질한 것 1줌 (150그램) (선택)
대파 250그램
다진마늘 150그램

생강즙 1티스푼 (선택)
국간장 2.5스푼 (40그램)
친수피시소스 2.5스푼 (40그램)
범일콩된장 4스푼 (100그램)
고운고춧가루 6스푼 (45그램)

우르르 전부 넣고 끓이면 끝인데


깻잎1묶음 팽이1봉투 거피들깻가루2스푼 수제비사리1줌 100그램

라면사리or 중화면사리

밥 계란 쪽파 참기름

 

 

 

 

1. 배추겉잎은 깨끗하게 씻어서 끓는 물에 넣고 다시 한 번 끓어오르도록 2분 정도 데치고 건져서 식힌 다음 먹기 좋게 찢는다.

 

2. 돼지고기는 한 입 크기로 먹기 좋게 자른다.

*갈매기살은 손질 전에 1.5키로였는데 막과 지방을 손질하니까 1.2키로 정도 됐다. 고기는 넉넉하게 1.5키로까지 사용해도 좋다.

 

3. 감자는 씻고 껍질을 깍아서 먹기 좋게 손질한다. 감자는 취향 따라 생략해도 괜찮다. 대파는 반 갈라서 큼직하게 썰고 취향 따라 토란대도 준비한다.

*감자는 우거지탕에 넣어서 익혀도 되는데 그러면 계속 익힘상태를 봐가면서 조절해야하니까 영 번거로우면 따로 삶겨나 쪄서 마지막에 넣어도 좋다.

*우거지탕을 미리 만들어서 냉동했다가 해동해서 먹을 때도 우거지탕은 충분히 조리된 상태에서 물로만 희석하면 되게 보관하고 감자는 마지막에 따로 넣는 것이 편하다.

 

4. 냄비에 돼지고기를 넣고 노릇노릇하게 볶은 다음 서골육수를 붓고 대파, 다진마늘, 국간장, 피시소스, 된장, 고운고춧가루, 푸른 배춧잎 데친 것, 손질한 토란대를 넣고 배춧잎과 토란대가 흐들흐들하도록 40~50분 푹 끓인 다음 감자를 넣고 감자가 익도록 15~20분정도 더 끓여서 완성한다.

*적당히 익으면 퍽퍽 튀니까 뚜껑을 비스듬히 닫는다.

*배추 겉잎의 상태에 따라 푹 끓이는 시간을 조절한다.

*중간중간 필요하면 물을 추가하는데 한번에 다 먹을 것이 아니면 물을 적게 추가해서 완성한 다음, 먹을 때에 물을 추가해서 입맛에 맞게 희석하고 한 번 끓여 먹는다.

(토란대 손질 - https://homecuisine.co.kr/hc20/105276)

 

5. 한 번 먹을 분량을 냄비에 담아서 물을 넣고 농도와 간을 맞도록 희석하고 후추를 탈탈탈탈 털어넣는 다음 한 번 끓인다. 약간 싱겁다 싶은 정도로 물이 조금 많게 간을 맞추면 들깻가루, 각종 사리를 넣고 먹기 좋게 끓였을 때 간이나 농도가 적당하다.

*4번에서 후추를 넣어도 되는데 후춧가루의 향이 금방 휘발되니까 그때도 넣고 지금도 넣고 해도 괜찮다. 먹기 직전에 후춧가루를 넣으면 향이 살고 맛있다.

 

 

여기서부터는 선택인데 팽이버섯, 깻잎, 수제비사리 등 재료 사오기가 귀찮으면 들깻가루만 넣고 끓여서 먹기도 한다.

 

6. 전골냄비에 담아 수제비사리, 깻잎, 팽이버섯, 거피들깻가루를 넣고 한 번 수제비사리가 익도록 3~4분정도 끓인다.

*거피들깻가루의 양은 1인분에 1스푼정도면 고소하니 먹기 좋은데 취향에 따라 가감한다.

*수제비사리는 최대 100그램으로, 그 이하로 조금 넣는 것이 잘 익고 먹기도 좋다. 수제비사리를 생략할 때는 한 번 우르르 끓도록만 익힌다.

 

 

하지만 면사리는 선택이 아닌ㅋㅋ

7. 라면사리를 추가할 때는 따로 한 번 삶아서 추가한다. 냉동중화면 사리를 추가해보기도 했는데 냉동중화면이 따로 삶지 않고 바로 넣어도 되고 먹기도 더 좋았다.

 

8. 마지막으로 밥 넣고 잘 저어가면서 죽 끓이고 쪽파(나 깻잎), 계란을 넣고 계란이 익도록 끓인 다음 참기름을 약간 넣어서 죽으로 마무리.

 

 

 

1.

IMG_1829.JPG

 

 

IMG_1841.JPG

 

 

2

IMG_1830.JPG

 

 

 

4

IMG_1831.JPG

 

 

 

IMG_1833.JPG

 

 

우르르 전부 넣고 끓이기 시작.

IMG_1837.JPG

 

 

IMG_1845.JPG

 

 

20분경과

IMG_1849.JPG

 

 

35분 경과

IMG_1853.JPG

 

 

 

45분경과

IMG_1854.JPG

 

 

 

여기에 감자를 넣는데 감자는 따로 삶아서 넣으면 시간 가늠하기가 더 편하다. 뚜껑을 비스듬히 닫고 끓이는 동안 중간중간에 물을 추가했다.

 

IMG_1859.JPG

 

 

감자넣고 나서 15분 경과. 감자가 큼직해서 익는데 시간이 걸린다..

배추 우거지가 지금 상태가 딱인데 감자를 다 익히자니 우거지가 너무 많이 익는다 싶어서 중간중간에 감자가 빨리 익도록 감자를 국자로 쪼개고 불을 줄여가면서 가열을 최소화했다.

역시 감자는 따로 삶아서 합해야 편한..

IMG_1862.JPG

 

 

 

총 1시간 경과인데 이제 불을 끄고 식힌 다음 먹을만큼 덜어서

 

IMG_1866.JPG

 

 

물을 붓고 간과 농도를 맞추고

IMG_1870.JPG

 

이대로 들깻가루만 넣고 끓여서 먹어도 좋고

 

 

 

수제비사리나 깻잎, 팽이버섯을 넣으면 먹을 것도 좀 더 있고 잘 어울려서 좀 더 잘 해먹는 느낌도 난다.

 

IMG_1873.JPG

 

 

IMG_1879.JPG

 

 

이정도 너낌으로 끓여서

IMG_1889.JPG

 

 

 

IMG_1890.JPG

 

 

진짜 완성.

IMG_1894.JPG

 

 

 

라면사리는 이렇게

IMG_1900.JPG

 

 

중화면 사리는 이렇게

IMG_1916.JPG

 

 

후식은 이렇게

IMG_1901.JPG

 

 

IMG_1902.JPG

 

오리탕이나 감자탕은 손이 많이 가야하는 음식이라 마음먹고 해야하는데 그 중간적인 맛이면서도 재료만 준비하면 푹 끓여서 끝이라 효율이 좋다.

 

 

 

 

  • 남편바라기 2021.12.01 13:05
    와아ㅜㅜㅜ이것은 옳게된 탕입니다...!!!!
    쫜득쫜득 쫠깃한 갈매기살에 구수한 사골국물맛이
    느껴지는듯한...게다가 수제비, 면사리에 볶음밥까지ㅋㅋㅋㅋㅋ완벽하네요. 갈매기살은 구워만 봤지 국물요리에 넣어본적은 없는데 궁금하네요. 넘 추워진 요즘 보글보글 끓여가며 푹푹 떠서 먹고싶은 메뉴입니다*-*♡
    요새 회사가 너무 바빴어서 오랜만에 찾아왔는데 그새 날씨가 너무너무 추워졌어요 윤정님!! 서울은 진짜 벌써 부츠속 발꾸락이 얼어버릴것만 같은 날씨입니다. 부산은 조금 덜 춥겠지만 그래도 늘 건강 유의하시고 연말 즐겁게 보내셔용^^)♡
  • 이윤정 2021.12.06 03:18
    안녕하세요 남편바라기님^^ 제가 답글이 좀 늦었죠. 죄송해요ㅠㅠ
    요 며칠간 남편바라기님의 에너지 넘치는 댓글 보며 넘 감사했어요.
    요즘 사골곰탕 시판육수가 잘 나와서 이렇게 우거지탕 해먹기도 편하고 참 좋은 세상인 것 같습니다ㅎㅎ
    갈매기살을 이번에 미트박스에서 좀 샀는데 구워먹기도 하고 볶아먹기도 하고 이렇게 탕이나 찌개도 해먹어보니 양념이 강한 탕이나 찌개에 엄청 잘 어울렸어요.
    확실이 육향도 육질도 개성이 강한 부위다보니까 그런가봐요. 푹 끓여 드시면 또다른 매력을 발견하실거에요^^
    많이 추우시죠ㅠㅠ 부산도 서울만큼은 아니지만 춥긴한데 그럭저럭 견딜만 해요. 늘 따숩게 입고 따뜻한걸로 잘 챙겨드세요^^

  1. 돼지고기 두루치기, 제육볶음

    2014/08/03 간단하게 만든 돼지고기 두루치기, 제육볶음. 대충 계량스푼 하나 들고 양념들 푹푹 퍼가면서 만든 제육볶음이지만 내 입맛에는 괜찮았다. 물론 공들인 레시피는 아니지만 편하게 금방 만들어 먹기 좋으니 기대감도 적고, 고기는 원래 맛있는거니까... 사용한 재료는 돼지고기 500그램, 양배추, 양파, 대파 양념장으로 고운 고춧가루 2스푼, 고추장 2스푼, 간장 2스푼, 설탕 3스푼, 다진마늘 2스푼, 청주 2스푼, 다진파 2스푼, 후추, 참기름, 깨소금 한식의 기본 양념 공식인 장설파마후참깨에 청주를 더했다. 장은 간장, 고추장, 고춧가...
    Date2014.08.03 Category고기 By이윤정 Reply0 Views18616 file
    Read More
  2. 돼지고기 두부찌개

    돼지고기 두부찌개 돼지고기에 양념을 해서 육수를 넣어 팔팔 끓이고 두부를 넣어서 칼칼하게 먹는 돼지고기 두부찌개. 남편이 학생 때 아르바이트하며 자주 주문해 먹은 찌개인데 나이먹고 다시 가보려니 어디인지 찾지를 못하겠어서 비슷한 형태로 만들었다. 그 때 먹은 것과 같이 다진고기를 볶아서 만들었는데 대패삼겹살을 사용해도 잘 어울리겠다 싶었다. 사용한 재료는 (밥숟가락 사용) 다진 돼지고기 200그램 청주 1숟가락 간장 1숟가락 고운 고춧가루 2.5숟가락 다진마늘 1숟가락 새우젓 1숟가락 후추약간 멸치육수 500미리 양파 1개 대파 1...
    Date2015.05.21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10 Views11830 file
    Read More
  3. 돼지고기 두부찌개

    다진 돼지고기와 두부, 육수를 넣어 얼큰하게 찌개를 끓였다. 재료만 준비하면 순서대로 볶고 끓이기만 하면 되니까 간단해서 좋다. 비슷한 재료로 돼지고기 대신에 우럭을 넣고 순서와 시간을 조금 바꾸고 산초나 쑥갓, 미나리 등을 추가하면 매운탕인데 남편이 생선을 잘 안먹어서 매운탕보다는 두부찌개를 더 자주 끓인다. 미리 우려둔 육수는 여기 - https://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43240&mid=hc10 사용한 재료는 (계량스푼 사용) 돼지고기 다짐육 200그램 청주 1스푼 국간장 1스푼 고운 고춧가루 2스푼 다진마늘 1스푼 새우...
    Date2016.11.28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4 Views20643 file
    Read More
  4. 돼지고기 두부찌개

    돼지고기 다짐육에 육수를 넣고 부드럽게 푹 끓인 다음 칼칼하게 양념하고 두부를 듬뿍 넣어 만드는 돼지고기 두부찌개. 재료만 준비하면 순서대로 볶고 끓이기만 하면 되니까 간단해서 좋다. 비슷한 재료로 돼지고기 대신에 우럭을 넣고 순서와 시간을 조금 바꾸고 산초나 쑥갓, 미나리 등을 추가하면 매운탕인데 남편이 생선을 잘 안먹어서 매운탕보다는 두부찌개를 더 자주 끓인다. 사용한 재료는 (계량스푼 사용) 돼지고기 다짐육 400그램 멸치황태육수 600미리 감자 1개 양파 1개 청주 1스푼 국간장 2스푼 고운 고춧가루 2~3스푼 다진마늘 1스푼...
    Date2017.12.19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4 Views29718 file
    Read More
  5. 돼지고기 메추리알 장조림

    돼지고기 메추리알 장조림 사용한 재료는 돼지고기 안심 1개 메추리알 약 30~40개 육수 - 멸치, 새우, 황태, 표고버섯, 대파, 다시마 간장 100미리, 미림 50미리, 설탕 약 3스푼 중간중간 물 추가 메추리알은 찬물에 넣고 물이 끓기 시작하면 불을 끈 다음 물에 담긴 메추리알은 물이 미지근할 때까지 식힌 다음 헹구고 하나씩 깠다. 잘 알려져있다시피 계란이나 메추리알을 삶을 때는 두어번 굴려가며 삶는 것이 좋다. 노른자에는 지방이 있어서 흰자보다 가벼우므로 가만히 두면 메추리알이나 계란의 노른자가 흰자 위에 떠서 위에서 그대로 굳으니...
    Date2015.02.25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8 Views8757 file
    Read More
  6. 돼지고기 메추리알 장조림

    2014/05/26 돼지고기 메추리알 장조림 메추리알을 사와서 뭐 어쩔지는 모르겠고 시간 날 때 삶아서 껍질이나 까자며 2판을 삶아서 껍질을 깠다. 껍질을 까면서 이쁘게 안 까진 것은 먹기도 하고 어쨌든 반은 그냥 오가며 먹고 반은 장조림을 만들었다. 껍질을 깐 메추리알을 사면 편하긴 한데 부드러운 맛이 약간 덜해서 굳이 했더니 더 맛있긴 했지만 늘 삶아서 까고 싶지는 않았다. 별일도 아니면서 지루하고 힘든 시간이었다. 육수 재료로 다시마, 대파, 무, 새우, 건표고버섯, 마늘 간장 소스로 간장 150미리, 청주 50미리, 설탕 50그램, 돼지고...
    Date2014.05.26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0 Views4013 file
    Read More
  7. 돼지고기 메추리알 장조림

    여러번 올렸던 반찬인 장조림. 요즘 덥고 바빠서 매끼 음식하기보다 간단하게 해먹고 있다. 언니에게 갖다주느라 좀 넉넉하게 만들었다. 사용한 재료는 돼지고기 안심 1.5키로 메추리알 70개 멸치황태육수 넉넉히 간장 1컵 청주 0.5컵 미림 0.5컵 설탕 0.5컵 다 만들고 나서 지퍼백에 포장하고 집게로 집어두면 장조림국물에 고기가 겨우 잠기는 정도라 먹고나면 남는 것이 없는 정도의 장조림이다. 고기에 비해 양념이 적은데 덜 짜고 덜 달아서 맨입에 먹기 좋은 간이다. 짭짤하고 국물이 넉넉한 게 좋다면 양념을 1.5배로 하면 적당하다. 멸치황태...
    Date2016.08.12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5 Views13185 file
    Read More
  8. 돼지고기 메추리알 장조림 만들기, 만드는법

    편하게 자주 만드는 돼지고기 메추리알 장조림. 간만에 맛있게 해볼까 하는 음식이 아니고 늘 만드는 반찬은 그냥 장조림이나 하지 뭐 하고 가벼운 마음으로 시작할 수 있도록 편한 게 좋다. 전체적인 간은 주재료 1키로 당 간장 100미리 / 간장의 반으로 설탕, 미림 / +물이나 육수는 장조림 재료가 겨우 잠기도록. 물보다 멸치황태육수를 사용하면 더 맛있지만 바쁠 때는 참치액이나 멸치진국같은 조미료를 사용할 때도 있고 물만 사용하기도 한다. 진한 멸치황태육수 사용 / 각자 쓰는 조미료 사용 / 그냥 맹물사용 전부 다 괜찮다. (하루이틀 만...
    Date2019.11.12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6 Views18153 file
    Read More
  9. 돼지고기 사골우거지탕

    시판사골육수, 돼지고기 갈매기살, 배추우거지, 된장양념으로 우거지탕을 푹 끓였다. 재료만 준비하면 우르르 넣고 푹 끓이면 끝이라 오리탕이나 감자탕과 비슷한 맛을 내는 것 치고는 많이 간단하다. 돼지고기는 쫄깃쫄깃한 갈매기살이 찌개나 탕에 잘 어울려서 좀 많이 사서 김치찌개도 해먹고 우거지탕에도 사용했는데 어느 부위를 사용해도 괜찮긴 하다. 말린 우거지는 아니고 푸른 겉잎을 데친 것을 사용했다. 요즘같이 배추 겉잎이 남는 계절에 딱이다. 오리탕과 감자탕의 중간적인 느낌인데 갈매기살 육질이 오리탕의 오리와 비슷해서 쫀득쫀...
    Date2021.11.30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2 Views3716 file
    Read More
  10. 돼지고기 장조림 만들기, 만드는법, 레시피, 양념

    돼지고기 장조림 조림장에 육수재료를 함께 넣고 편하게 장조림을 했다. 사용한 재료는 안심 500그램 무 5~6센치 간장 100미리 미림 50미리 설탕 3스푼 건새우 1줌 황태 약간 대파 1대 다시마 10센치 1장 위 재료를 전부 냄비에 넣은 다음 재료가 완전히 잠기지는 않을 정도의 물을 넣고 끓기시작하면 중불~중약불로 낮춰서 40분정도 푹 끓였다. 재료를 다 넣을 정도면 냄비가 약간 커야 하는데 조림장이 졸아들면 돼지고기가 다 잠기지 않기 때문에 중간에 냄비를 한 번 바꿨다. 40분쯤 지났을 때 무와 돼지고기를 건져 낸 다음 육수재료는 걸러서 ...
    Date2016.01.12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4 Views9482 file
    Read More
  11. 돼지고기 찹쌀구이

    유자즙을 넣어 만든 상큼한 소스에 채소를 버무리고 그 위에 돼지고기 찹쌀구이를 얹어서 한접시를 차렸다. 고소한 맛을 더하기 위해 대파와 꽈리고추를 두 번 튀겨서 올렸는데 생략해도 좋지만 있으면 더 맛있다. 사용한 재료는 돼지고기 목살 약 450그램 불고기 양념 450그램 분량 x 0.8 찹쌀가루 약 1컵 로메인레터스 1개 양파 반개 오이 반개 꽈리고추 10개 대파 2대 드레싱으로 물 1스푼 식초+설탕 2스푼 유자즙 1스푼 메이플시럽 0.5스푼 다진 마늘 0.5스푼 다진 청양고추 2개 참기름 약간 불고기양념은 여기 - http://homecuisine.co.kr/index...
    Date2016.06.16 Category고기 By이윤정 Reply11 Views14288 file
    Read More
  12. 돼지고기로 속을 채운 파프리카전

    2013/07/06 돼지고기로 속을 채운 파프리카전 사용한 재료는 속을 채우는 돼지고기소로 돼지고기 다짐육 400그램, 계란2개, 빵가루 1컵, 다진 마늘1T, 다진 생강 1t,소금 2t, 청주 2T, 참기름 0.5T, 후추 약간 파프리카 적당량, 밀가루, 계란 파프리카에 고기반죽을 채우고 밀가루와 계란물을 묻혀서 지져내면 끝. 돼지고기반죽의 간이 적절하기 때문에 간장에 찍어먹지 않아도 간이 딱 맞았다.
    Date2013.07.06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0 Views2703 file
    Read More
  13. 돼지불백, 돼지불고기만드는법

    2013/03/28 돼지불백, 돼지불고기만드는법 무한도전에서 울리는 그 소리 돼지불백 세개요. 돼지불고기나 제육볶음, 두루치기백반은 많이 들었는데(먹었는데) 무한도전에서 나오는 돼지불백이라는 말이 일주일이 지나도 잊혀지지가 않았다. 그리고 돌아온 지난 일요일. 돼지불백.. 돼지불백.. 돼지불고기백반.. 그래 해먹자. 레시피는 한국요리해법이라는 책을 참고 했는데 복잡한 레시피를 조금 쉽게 바꾸고 대량으로 완성된 레시피를 소량에 맞게 바꾸고, 카라멜이나 미원은 생략, 소주는 청주로 바꿔서 만들었다. 저울에 올려서 그램수 맞춰서 만들...
    Date2013.03.28 Category고기 By이윤정 Reply2 Views9531 file
    Read More
  14. 된장라면, 된장찌개 라면

    사용한 재료는 약 3인분으로 목살 약 100그램 사골곰탕 350미리 1팩 황태육수 800미리 된장 2스푼 국간장 1.5스푼 고춧가루 1스푼 다진마늘 1스푼 양파 1개 애호박 반개 대파 반대 청양고추 1~2개 라면사리 2~3개 라면사리를 2개 넣어서 만들었지만 국물을 약간 넉넉하게 잡아서 라면사리를 3개까지 넣어도 괜찮다. 2개 넣고 밥까지 곁들여 먹으면 딱 3인분 정도 된다. 황태육수는 여기 - http://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43240&mid=hc10 집에 늘 있는 대패목살을 사용했는데 구워먹고 남은 고기를 잘게 썰어서 넣어도 좋고 소고기...
    Date2016.10.12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6 Views8889 file
    Read More
  15. 된장라면, 된장찌개 라면

    편하게 만드는 된장찌개를 평소보다 육수를 조금 넉넉하게 잡고 끓여서 라면사리와 합체한 된장라면. 라면 대신 칼국수를 따로 삶아서 넣으면 된장칼국수가 된다. 사용한 재료는 안심 약 50그램 황태육수 800미리 된장 1.5스푼 국간장 1스푼 (간보고 가감) 고춧가루 0.5스푼 다진마늘 1스푼 양파 1개 애호박 반개 대파 반대 청양고추 1개 라면사리 1개 육수는 황태육수와 사골국을 반반으로 사용했다. 황태육수는 여기 - https://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43240&mid=hc10 돼지고기 안심은 가능한 한 잘게 썰고 애호박, 양파, 대파, ...
    Date2017.07.15 By이윤정 Reply2 Views11767 file
    Read More
  16. 된장오이무침, 오이무침

    밥상에 채소가 없을 때 얼른 무쳐서 밥상에 올리는 반찬인 오이무침. 미니오이가 나는 철이면 밥상에 오이가 빠지지 않는 편이라서 오이는 무치지 않고 그냥 썰어서 오이스틱으로 밥상에 올리는 경우가 가장 많지만 그 다음으로는 별 생각 없이 이렇게 자주 대충 무쳐서 만든다. 살짝 절이고 물기를 뺀 다음 오이무침을 하면 더 좋긴 하지만 바쁠 때는 절이지 않고 만드는 경우도 많다. 절이지 않는 오이무침은 당장 먹을 정도 분량만 준비해서 먹기 전에 무쳐서 먹는 것이 좋다. 미리 절이지 않았기 때문에 무치고 나서 시간이 지나면 흥건해져서 먹...
    Date2020.08.28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2 Views2368 file
    Read More
  17. 된장찌개

    어제 올렸던 찌개맛된장으로 만드는 여러 된장찌개. 어제 올린 찌개맛된장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93371 평소 된장찌개 하면서 준비하는 재료를 좀 넉넉하게 준비하고, 조미료 좀 넣고 된장찌개를 만들면서 다음에 만들 재료를 미리 배합해 둔 다음 편하게 꺼내 쓰는 것과 똑같다. 편하게 만들고 여기저기 편하게 사용하면 좋다. 재료 (2인 된장찌개 10회분) 시판된장 200그램 집된장 200그램 피시소스 36그램 조개다시다 36그램 다진마늘 100그램 대파흰부분 100그램 청양고추 75그램 (12개) 이렇게 만들어 둔 찌개맛된장은 1인분...
    Date2020.06.13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4 Views3573 file
    Read More
  18. 두루두루 사용하는 김치볶음, 김치찜, 김치찌개

    늘 집에 만들어두는 반찬인 김치볶음. 이기는 한데 실제로 볶는 과정은 없어서 김치찜에 가깝다. 김치로 만드는 반찬을 생각보다 별로 올린 적이 없는데 하도 자주 만들고 또 너무 별 일도 아니라서 사진을 찍지도 않다가 오랜만에 올려본다. 김치만 이렇게 볶아두면 1주일은 그냥 반찬으로 먹는데 금방 없어지니까 1주일을 둘 일이 없다. 당연한 이야기이긴 한데 그래도 하자면.. 보쌈 삶거나 고기를 구워먹을 때도 곁들이는 건 기본이고, 두부만 데쳐서 곁들여 먹어도 두부김치, 대패목살과 함께 양념해서 김치제육볶음으로도 좋다. 참치나 꽁치, ...
    Date2017.06.14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6 Views17127 file
    Read More
  19. 두부계란부침

    두부를 굽고 계란물을 부어서 구운 두부계란부침. 자주 해먹는 반찬 중의 하나인데 글을 따로 올릴 것도 없고 해서 사진도 안찍고 먹다가 오랜만에 사진을 찍었다. 만만하게 해먹기 좋다. 사용한 재료는 두부 1모(550그램) 계란 3개 소금약간 쪽파 몇 대 간장, 고춧가루, 참기름, 깨 큰 초당두부를 사용해서 계란이 3개 들어갔는데 보통 파는 330그램 두부면 계란 2개로 충분하다. 두부는 적당히 썰어서 키친타올에 깔고 소금을 뿌려서 5분정도 두었다. 간장을 곁들일거니까 소금은 평소 두부부침의 반정도만 뿌렸다. 계란은 잘 풀어두고 쪽파는 송송...
    Date2016.04.04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8 Views49368 file
    Read More
  20. 두부계란부침

    두부를 부치고 계란물을 부어 포근하게 구워내는 두부계란부침. 늘 집에 있는 재료로 편하게 만들기 좋다. 일상적인 반찬이지만 밥상이 괜히 허전할 때 아주 딱이다. 구운 두부를 계란물에 담그고 건진 다음 부쳐도 좋지만 구운 두부에 바로 계란물을 부으면 편하고, 계란도 넉넉해서 먹기 좋다. 두부를 놓았을 때 1겹으로 깔리는 크기의 팬을 골라서 사용해야 계란물을 부었을 때 두부에 계란옷이 도톰하게 잘 입혀진다. 부침용 두부 1모 (300~400그램) 소금 약간 식용유 적당량 계란 3개, 소금, 후추 쪽파 송송 썰어서 1줌 고춧가루 약간 간장 1스...
    Date2020.06.04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2 Views5018 file
    Read More
  21. 두부계란부침, 두부조림

    (별 내용 없음) 집에 두부가 없는 날은 없고, 두부부침, 두부조림도 자주 만든다. 만든다기보다는 그냥 존재하시도록 한다 정도. 두부조림은 냉장고에 들어갔다 나와도 맛있으니까 도시락 반찬으로 만드는 경우가 많고 두부계란부침은 바로 먹는 게 나으니까 밥상에 반찬이 약간 모자란다 싶을 때 얼른 만드는 편이다. 두부는 물기를 빼고 썰어서 키친타올에 얹어서 소금을 약간 뿌려서 소금간을 하고 물기를 최소 30분정도 빼고 기름에 구워서 두부를 부쳐서 두부부침 하는 게 기본이고 그러다가 계란 풀어서 두부에 뿌리고 대파 좀 뿌리고 해서 구...
    Date2019.01.18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4 Views4260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55 Next
/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