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IMG_0412.JPG



요즘 자주 만드는 액젓불고기를 또 하려고 이마트 트레이더스에서 돼지불고기용 돼지고기 앞다리를 샀는데 잘못 골라 왔는지 불고기용 치고는 두꺼워서 액젓불고기를 해도 좀 퍽퍽하고 맛없었다.


이럴 때는 조리방법을 바꿔서 기름이나 양념이 고기에 스며들 수 있도록 조리 시간을 늘이고 양념이 넉넉한 음식을 조리하는 것이 좋은데 김치찌개에 사용하기도 하고 김치찜에 사용하기도 했다. 이번에는 김치찌개 비슷하게 조리하면서 국물을 졸이고 (고춧가루조절 불조절 등으로 농도 조절) 만든 돼지고기김치찜에 두부를 곁들인 두부김치를 만들었다.


고른다고 골라와도 맘에 들지 않은 고기를 어떻게 하면 맛있게 먹을까 생각하다가 만든건데 찌개용으로 보자면 얇아서 금방 익으니까 편하게 만들기 좋았다.




재료 (2~4인분)


돼지고기불고기용 앞다리살 500그램
묵은지 400그램 (약 5분의1포기)

김칫국물 적당량

다진마늘 1스푼
대파 1대
물이나 육수 약 200~300미리 (고기상태나 김치 익는 정도, 불 세기에 따라 물 양 조절)
피시소스나 국간장 1스푼
설탕 1티스푼 (묵은 김치가 새콤해서 약간 넣었는데 선택)
고춧가루 1스푼
고운고춧가루 1~2스푼 (농도보고 조절)
따글따글하게 졸이기


초당두부 1모 (550그램)
찜기, 면포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돼지고기김치찜을 만드는 것과 두부 찌는 것을 동시에 했지만 먼저 두부 이야기.

두부는 시장에서 파는 큼직한 두부를 가장 좋아하지만 마트에서 구매할 수 있는 것 중에는 홈플러스에서 판매하는 초당두부가 가장 적당하다 고 늘 이야기 하는 듯..


두부김치용으로 좋읔 큼직한 두부를 통재로 찌거나 삶으려면 깊은 냄비에 삶거나 깊은 찜통에 쪄야하는데 두부 건지기도 힘들고 두부가 속까지 따뜻하게 익었는지 잘라보기 전까지는 모르니까 얼마나 익여햐 하는지도 모르고 그럴 때가 있다.


냄비에 두부를 바로 넣고 삶으면 바닥에 두부가 닿아서 가열되니까 두부가 아주 푹 잠기지 않는 이상 두부가 눋고.. 그래서 꺼내기 좋도록 찜통이나 찜삼발이가 필요하고 찜통이나 냄비는 깊어야 한다. 삶았을 경우에는 꺼내기도 힘들어서 냄비에 있는 물을 따라내고 살살 겨우 건졌는데 반으로 가르니까 아 아직 속까지 뜨끈뜨끈하지 않고 속이 찹찹하고ㅠㅠ 누구나 겪었을 일이다. 꺼내는 것은 찜통이나 찜삼발이를 사용하면서 면포를 사용하면 좀 편하다, 속까지 익히는 것은 미리 두부를 썰어서 넣으면 해결된다.


여러 요소가 있지만

1. 무조건 필요한 건 두부높이를 넘는 찜통이다. 삶아도 좋지만 바닥에 붙지 않도록 와이어가 있건 찜기가 있건 어쨌건 바닥에 두부가 딱 달라붙지 못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2. 두부를 건지기 편하도록 손잡이가 있는 찜통이나 면포를 사용한다. (면포를 사용한 경우에는 면포를 열고 두부 위에 접시를 덮고 접시로 덮어서 뒤집어서 면포를 제거한다.)

3. 두부는 큼직하게 썰어서 찌면 속까지 잘 익고 수분도 빠르게 빠지는 편이다. (초당두부를 사용할 경우에는 5~6등분이 적당)


+  15분간 찐 두부는 불을 끄고 접시에 담기 직전까지 계속 뚜껑을 덮어서 온도를 유지한다.

+ 두부김치와 찐두부는 큰 접시에 서로 닿지 않게 담거나 다른 접시에 따로 담는 것이 좋지만.. 한 접시에 같이 담을 때는 두부에서 나온 수분이 두부김치에 들어가면 싱거워지니까 키친타올로 수분을 한 번 눌러서 접시에 같이 담는다.


IMG_0389.JPG



IMG_0398.JPG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이제 별 신경쓸 것 없이 간단하게 만들 김치찜.
수육을 따로 삶거나 등심덧살 김치찜을 하는 걸 좋아하지만 오늘은 집에 있는 고기가 불고기용으로는 좀 두껍고 찜용으로 두꺼운 고기라 고기는 신경쓸 것 없이 김치만 익고 물조절만 되직하게 하면 끝이다.



1. 팬에 한입 크기로 썬 돼지고기를 볶다가

2. 김치를 썰어서 넣고 볶고
3. 살짝 자박도록 물이나 육수를 붓고 끓이면서

4. 고춧가루, 다진 마늘, 4-1어슷 썬 대파를 넣고 국간장이나 피시소스로 간을 하고 계속 저어가면서 익힌다.

5. 김치 상태를 보아하니 간을 안봐도 좀 시겠다 싶어 신김치의 맛을 희석하려고 설탕을 약간 넣었다. 보통은 간을 보고 신맛의 상태에 따라 설탕 양을 조절한다.

6. 고춧가루는 처음에는 보통것과 고운것을 1스푼씩 넣고 맘편하게 끓이다가 마지막에 상태를 봐가면서 소스에 농도가 더 필요하면 고운 고춧가루를 조금 더 넣어서 농도를 잡는다.

7. 바닥에 달라붙지 않도록 바닥까지 잘 저가면서 국물이 졸아들어서 김치찜느낌이 되도록 한다.

8. 김치가 투명하게 익고 김치찜 색깔이 나면서 바닥을 긁어봤을 때 국물보다는 소스 느낌이 나도록 졸이면 완성.





미리 생각하고 만들기 시작한 게 아니고 별 생각 없이 만든 거라 만들다가 아 사진을 찍긴 찍을까? 하고 카메라를 가져와서 사진 찍기 시작했다. 그래서 사진 시작이 여기.. 그런데 요즘 만드는 음식이 대부분 그렇긴 하다.


4-1

IMG_0381.JPG



7

IMG_0383.JPG



8 소스 너낌/

IMG_0384.JPG




IMG_0388.JPG




접시에 돼지고기김치찜을 담고 찐두부를 곁들였다.


IMG_0412.JPG



IMG_0412-.jpg

(하얀 두부에 김치찜 묻는 게 싫고, 잘 졸여서 딱 맘에 드는 김치찜에 두부를 올려서 김치찜 양념이 두부 수분으로 희석되는 것도 싫어서 사진만 찍고 얼른 접시를 나눠 담았다.)



뜨끈하게 찐 두부에 투명하게 잘 익은 김치와 매콤한 김치찜양념, 불고기용 돼지고기를 올려서 한 입 먹으면 간이 딱 맞고 맛있다. 밥도 필요없이 김치찜만 있어도 맛있는 한 끼 식사가 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맨 처음 이야기한 김치찌개. 불고기용으로 별로였던 고기가 김치찌개에 들어가면 잘 익으니까 다루기 편하고 먹기도 보들보들하니 좋았다.


두부를 찌개용 두부 (300그램) 사용한 것 외에는 재료가 100퍼센트 똑같은데 고춧가루, 피시소스 양이 약간 다르고, 국수 만들고 남은 멸치육수도 넣었었다.


가장 다른 점은 물양 불세기 조절이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똑같은 재료로도 물조절 불조절에 따라 이렇게 완전히 달라진다. 만드는 동안에도 상황에 따라 어떤 선택을 하고 어떤 결정하냐에 따라 뭐든 될 수 있고 그런거 같다.

IMG_0010.JPG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4 반찬 가지나물 어릴 땐 가지나물을 못(안)먹었는데 나이가 들었는지 해볼까 싶어서 해보니까 의외로 입맛에 맞아서 올해 여름에 잘 해먹었다. 가지를 찜통에 찌고 뜨거울 때 국... file 이윤정 2021.11.05 2691
1043 한그릇, 면 카라멜라이즈 카레, 카레라이스 카레라이스는 오랜만에 따로 올리는데 그동안은 일상사진 포스팅에 한 장씩 들어있었던 것 같다. 우리집 기본 카레는 올리브오일과 버터에 양파를 열심히 볶아서 ... 2 file 이윤정 2021.11.02 5172
1042 고기 항정살 등심덧살 액젓수육, 김치찜, 양파절임, 온두부, 수육밥상 오랜만에 수육을 만들었다. 김치찜을 가장 미리 만들어두고 (먹기 직전에 한 번 더 데움) 두부는 시장에서 파는 손두부를 찜통에 찌고 (먹기 직전에 한 번 더 데... file 이윤정 2021.10.29 5091
1041 국 찌개 소고기미역국, 소고기미역죽 소고기미역국을 비롯해 소고기가 들어가는 국은 국거리용으로 썬 고기보다는 양지나 아롱사태 등을 덩어리로 장만해서 끓이는 걸 좋아해서 매번 과정이 거의 똑같... 2 file 이윤정 2021.10.27 4714
1040 국 찌개 꽁치무조림, 꽁치조림 캔꽁치로 생선조림을 만들었다. 거의 비슷하게 만드는 고등어조림은 여기 https://homecuisine.co.kr/hc10/98484 재료 캔꽁치 400그램 1캔 물 300미리 (필요하면 ... 4 file 이윤정 2021.10.21 4038
1039 고기 제비추리 구워 먹은 이야기 그냥 소고기 구워먹은 이야기. 소고기는 구이용으로 먹게 좋게 손질하고 무쇠팬을 달궈서 노릇노릇하게 구워먹었다. 숯불이 아닌 무쇠팬에 굽는 거라 최상의 소고... 2 file 이윤정 2021.10.17 7275
1038 밥류 참치된장죽 얼마 전 가족이 장염에 당첨되어서 아무 것도 못먹다가 좀 나아서 이온음료 정도 먹고 다음엔 흰죽만 먹다가 조금 상태가 나아지니까 푸딩계란찜도 좀 먹고 그러... 4 file 이윤정 2021.10.14 3489
1037 전골 탕 꽃게탕 어릴 때부터 엄마께서 정말 자주 해주셨고 정말 좋아한 소울푸드가 꽃게찌개인데 소울푸드 치고는 오랜만에 꽃게탕을 끓였다. 먹고는 싶지만 냉동꽃게는 맘에 덜 ... 2 file 이윤정 2021.10.11 3710
1036 한접시, 일품 순대볶음 순대볶음을 할 때는 주로 닭갈비양념에 고추장을 약간 넣어서 양념을 만드는데 닭갈비양념 만들어 둔 게 없어서 바로 양념을 만들어 순대볶음을 했다. 평소 만드... file 이윤정 2021.10.09 2882
1035 일상 그냥 이것저것 (휴대폰으로 수정하다하다 자꾸 강제종료되고 등록버튼 사라지고 해서 일단 방치.. 일부 브라우저에서는 팅겨요) ㄹㅏㅂㅗㄲㅇㅣ 라보ㄲ이 타자르ㄹ 어ㅁ처ㅇ ㅃ... 2 file 이윤정 2021.09.30 3279
1034 국 찌개 차돌강된장, 조림맛된장 조림맛된장은 별 건 아니고 강된장 할 때마다 일일이 재료 꺼내오기가 귀찮아서 미리 배합할 때도 있고, 청양고추 대파 많이 샀을 때 얼른 소비하려고 만들기도 ... file 이윤정 2021.09.17 4070
1033 고기 액젓불고기 이전에 올린 액젓불고기 https://homecuisine.co.kr/hc10/102292 는 여전히 자주 해먹고 있다. 앞다리살이나 뒷다리살 불고기용이 좀 얇고 질이 좋아보이면 그 날... 2 file 이윤정 2021.09.13 3583
1032 국 찌개 간단 육개장, 파개장 요즘 저렴한 대파를 듬뿍 넣은 육개장. 파개장이라고 볼 수도 있고 육개장이라고 불 수도 있고 그렇다. 양지와 대파, 무를 기본으로 토란대나 고사리, 표고버섯, ... 4 file 이윤정 2021.09.06 4859
1031 한접시, 일품 짜장잡채밥 잡채를 만들면 만든 날에 맛있게 먹고 https://homecuisine.co.kr/hc10/104784 남은 잡채는 충분히 식힌 다음 봉투에 넣고 눌러서 공기에 닿지 않도록 포장해서 ... file 이윤정 2021.09.03 3311
1030 한접시, 일품 잡채춘권 어제 올린 잡채 https://homecuisine.co.kr/hc10/104784 는 양이 넉넉해서 남은 잡채는 2등분해서 냉장보관했다. 잡채는 충분히 식힌 다음 봉투에 넣고 눌러서 공... file 이윤정 2021.09.01 3170
1029 한접시, 일품 기본 잡채 맨입에 먹기 적당한 간으로 만드는 잡채. 집에 채소라고는 양파 대파 뿐이고 건목이버섯이 있어서 딱 이렇게만 사용했다. 표고버섯이나 당근, 시금치, 애호박 등 ... file 이윤정 2021.08.31 4942
1028 한접시, 일품 김치전, 김치찌짐 시판 부침가루와 김치, 대파 만으로 간단하게 김치전을 부쳤다. 쪽파나 깻잎, 방아잎을 넣으면 더 좋다. 오징어나 베이컨, 대패삼겹살 등을 추가해도 좋은데 미리... file 이윤정 2021.08.29 4737
1027 전골 탕 낙곱새 양념으로 소고기두부조림 소고기두부조림이라고 해야할지 두부두루치기라고 해야할지 두부짜글이라고 해야할지 모르겠는데 어쨌든 사골육수 + 낙곱새양념 + 샤브샤브용 소고기 + 두부 + 양... file 이윤정 2021.08.25 3239
1026 밥류 소고기 야채죽 별 내용 없는.. 밥은 전기압력밥솥에 했는데 물을 평소보다 1.5배 정도 잡고 질게 밥을 짓는다. 소고기는 안심이 있어서 안심을 썰고 (국거리를 사용하면 충분히 ... 4 file 이윤정 2021.08.23 3491
» 한접시, 일품 두부김치 레시피, 두부 찌기, 삶기 데우기 요즘 자주 만드는 액젓불고기를 또 하려고 이마트 트레이더스에서 돼지불고기용 돼지고기 앞다리를 샀는데 잘못 골라 왔는지 불고기용 치고는 두꺼워서 액젓불고... file 이윤정 2021.08.17 9151
Board Pagination Prev 1 4 5 6 7 8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