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2013/12/03

불고기양념, 소불고기, 돼지불고기

 

 

 0.JPG

 

 

 

불고기 양념은 배나 양파를 갈아 넣는 것이 맛있는데

불고기 양념 조금 하자고 배 하나를 쪼개자니 참 애매하고 해서

배를 하나 깎으면 몽땅 갈아서 냉동해두고 조금씩 쓰거나 아예 대량으로 양념을 만들거나 하게 된다.

 

며칠 전에 중간크기의 배를 디저트로 깎았더니 맛이 조금 밋밋해서 이건 그냥 고기 양념을 써야겠다하며 냉장고에 넣어두고 배는 단 것으로 새로 깎아 먹었다.

그렇게 냉장고에 넣어 둔 중간 크기의 배로 불고기양념을 만들었다.

 

보통 양조간장은 염도가 15%정도 되고

고기에 양념하는 양념소스로는 3~4%정도면 고기에 양념하기 적합하다.

그러니까 간장 외의 재료가 약 간장1:타재료4 정도가 되면 된다는 이야기.

즉 간장이 400미리면 소스의 총 양이 1600은 되어야 간이 맞다.

 

그러니까, 간장 400그램에 설탕, 물엿, 미림, 마늘, 양파 등을 넣었을 때 총 무게가 1080이라면

여기에 물 혹은 육수와 배 간 것으로 1600을 맞춰줘야 간이 맞다는 이야긴데..

나는 아직 소스에 물을 넣을 정도로 공력을 쌓지 못해서

배 1개(약 350그램)를 간 것만으로 총 1400그램에 맞췄다.

 

 

그래서 사용한 재료는

 

고기 약 3.6kg 분량
배 350(1개)
양파 150g(1개)
마늘 50g(10개)
대파 50g(1대)
미림 60g
간장 400g
설탕 130g
물엿 130g
소금 10g
후추 3g
참기름 40g
깨 10g

 

보통 스푼이나 컵으로 계량을 하는 편인데

대량으로 만드는 소스는 그램으로 하는 편이 더 정확하기도 하고 (물엿이나 소금 같은 경우는 더 그렇다)

저울에 볼을 올려 두고 각 재료를 하나씩 넣을 때마다 tare버튼을 눌러 추가하는 것이 컵이나 수저를 쓰지 않아서 편하다.

어쨌든 사용한 재료는 정확하게 이만큼.

 

 

이렇게 만든 소스를 6등분해서 고기 1근에 절이면 간이 맞다.

다 더하면 1440그램정도 되고, 이를 6등분한 240그램의 소스에 고기 600그램이 적절하다.

채소나 당면을 넣을 때에는 간을 보면서 간장을 약간 더 추가하면 되고,

싱겁게 먹는 편이라면 소스 200그램정도에 고기 600그램을 넣어도 괜찮다.

 

 


 

 

배, 양파는 갈고 마늘은 커터기도 다져둔 것을 사용했고 대파는 칼로 잘게 다졌다.

각 재료를 준비하면서 저울에 그릇을 올려두고 tare버튼을 눌러가며 눈에 보이는 대로 추가했다.

 

채소 등 다지거나 갈아서 넣은 재료가 간장물의 위로 뜨기 때문에 소스를 조금씩만 쓸 것이면 깨끗한 페트병이나 뚜껑이 있는 통에 담았다가

덜어내기 전에 흔들어서 그나마 균질하게 만든 다음에 적정량을 덜어서 쓰면 좋다.

 

돼지고기에 넣을 때에는 고기가 그렇게 얇지 않으니까 분량대로 하면 소스가 좀 넉넉한데.. 센불에 고기를 익히면서 소스를 졸여 약간 짭짤하고 달달하게 먹고,

소고기는 불고깃감으로 얇게 썬 것에 절이면 남지도 않고 딱 적당한 소불고기가 된다.

 

 


크기변환_DSC01952.JPG     크기변환_DSC01954.JPG


크기변환_DSC01955.JPG     크기변환_DSC01956.JPG


 

 

 

 

소불고기는 양념을 한 다음 조금 굽다가 양파반개와 대파 반대를 썰어서 넣은 다음 촉촉하게 익혔다.

 

 

크기변환_DSC01969.JPG     크기변환_DSC01970.JPG


크기변환_DSC01982.JPG     크기변환_DSC01988.JPG


 

 

 

 

 

크기변환_DSC01989.JPG


 

 

 

 

 

크기변환_DSC01995.JPG


 

 

 

 

 

크기변환_DSC02001.JPG


 

 

 

 

 

크기변환_DSC02003.JPG

 

 

 

 

 

떡이나 당면을 넣을까 하다가 고기로 간이 딱 맞아서 더 넣지는 않았다.

여기에 당면이나 채소를 더 넣으려면 간장으로 간을 하는 것이 낫겠다.

조금씩 집어 먹다가 짭짤하고 달콤한 소불고기 국물에 밥을 비벼먹으니 간도 딱 맞고 맛있었다.

 

 

 

 

 

 

돼지고기는 앞다리 불고깃감을 양념에 절인 다음 이렇게 바싹 양념을 졸이고 토치로 불맛을 더했다.

불맛이 나는 것이 마음에 들어서 토치로 불질을 했지만 필수는 아니니까(당연히) 생략가능하다.

 


 

크기변환_DSC02141.JPG     크기변환_DSC02143.JPG


 

 

 

 

 

크기변환_DSC02145.JPG

 

 

 

 


 

크기변환_DSC02148.JPG

 

 

 

 


 

크기변환_DSC02151.JPG


 

 

 

 

 

목살로도 똑같이 한 번 더 했다.

 

 

목살이 더 비싼 것이었는데 앞다리살이 질이 더 좋았는지 의외로 앞다리에 잡냄새도 없이 잘 어울렸다.

고기의 부위도 중요하지만 역시 기본적인 신선도와 질이 우선인 것 같았다.

 

 

 


크기변환_DSC01964.JPG     크기변환_DSC01961.JPG


 

 

돼지고기와 소고기에 두루두루 잘 어울리는 불고기양념이었다. 

돼지고기에는 양념장의 양을 약간 줄이고 사과를 갈아 넣는 것도 좋은데 사과 한조각 남을 일이 있을 때에 해볼만 하다.

아니면 돼지고기용으로 따로 양념장을 만들어서 사과를 하나 갈아넣어도 좋고..

소고기에는 사과가 어울리지 않으니까 두루 쓰기에는 이대로 만드는 것이 조금 더 나은 듯 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 한접시, 일품 굴전, 굴밥 2013/12/28 굴전, 굴밥 마음껏 해산물을 먹기 어려운 시기이지만 그래도 한번씩 먹어줘야 하는 때가 오니까 이번에 또 굴을 샀다.. 연구기관에서 안전하다는 결과... file 이윤정 2013.12.28 4181
103 밥류 햄야채볶음밥 2013/12/19 햄야채볶음밥 훈제오리 남은 것이 조금 있어서 훈제오리볶음밥을 할까 하다가 햄 남은 것이 냉장고에 있어온 시간이 더 긴 것 같아서...;; 자투리채소... file 이윤정 2013.12.19 4845
102 일상 간단수육 2013/12/15 간단수육 요즘 한식보다 외국음식을 부쩍 많이 올리게 되는데 요즘 보는 요리책이 외국음식책이라 그런 이유도 있고 그러다보니 한식에 아이디어가 없... file 이윤정 2013.12.15 5412
» 고기 불고기양념, 소불고기, 돼지불고기 2013/12/03 불고기양념, 소불고기, 돼지불고기 불고기 양념은 배나 양파를 갈아 넣는 것이 맛있는데 불고기 양념 조금 하자고 배 하나를 쪼개자니 참 애매하고 해... file 이윤정 2013.12.03 10267
100 밥류 삼계죽, 닭죽 2013/12/01 삼계죽, 닭죽 삼계탕과 비슷한 삼계죽. 사용한 재료는 약 2인분으로 닭 1마리, 수삼1뿌리, 엄나무, 마늘, 대파, 육수 넉넉히 (쌀의 약 7배), 찹쌀1컵... file 이윤정 2013.12.01 6601
99 탕평채, 청포묵무침 2013/11/17 탕평채, 청포묵무침 녹두묵이 은근히 잘 발견하기가 힘든데 이마트트레이더스에서 하나 발견해서 업어왔다. 원래 탕평채는 녹두묵(청포묵)에 갖은 양... file 이윤정 2013.11.17 3503
98 김치, 장아찌, 무침 깻잎무침 2013/11/16 깻잎무침 농협에서 깻잎순이 한봉투 천원이라 아무 생각 없이 사와서 집에서 풀어보니 다듬을 일이 구만리였다.. 일일이 꼭지따고 정렬해서 씻고 터는... file 이윤정 2013.11.16 6145
97 한접시, 일품 잡채, 잡채만드는법 2013/10/31 잡채, 잡채만드는법 이번에 만든 것은 약 2~3끼 반찬으로 적당한 양이다. 불고기용 소고기 약 200그램에 밑간으로 간장, 설탕, 다진마늘, 후추, 참기... file 이윤정 2013.10.31 6697
96 한그릇, 면 떡만둣국 2013/10/31 떡만둣국 날이 추워지니까 당연히 떡국이 생각난다. 나는 떡국을 조금 더, 남편은 만둣국을 조금 더 좋아해서 떡과 만두를 반반씩 넣으면 나눠먹기 알... file 이윤정 2013.10.31 3236
95 한그릇, 면 오므라이스, 오믈렛 데미그라스소스 - https://homecuisine.co.kr/hc20/29624 오므라이스소스 - https://homecuisine.co.kr/hc10/54790 도 있지만 간단한 버전으로 버터 2스푼 밀가루... file 이윤정 2013.10.26 5751
94 반찬 산적꼬지, 명절음식 2013/10/08 산적꼬지, 명절음식 남편이 평소에는 명절음식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데 올해 추석에 이상하게 산적꼬지를 맛있게 잘 먹길래 한 번 더 해야지 생각하고... file 이윤정 2013.10.08 14378
93 반찬 오징어야채전, 오징어동그랭땡 2013/10/07 오징어야채전, 오징어동그랭땡 대충 다져서 지져내면 동그랭땡(돈저냐)이고 전이고 그러니까 제목은 일단 이렇다. 자투리 채소와 오징어, 소고기를 다... file 이윤정 2013.10.07 4165
92 반찬 배추겉절이 2013.10.02 배추겉절이 겉절이가 대충 만들면 되는 말그대로 겉절이인데 만들면서 계량을 하는 게 크게 의미가 없어서 늘 손가는대로 무치다가 오랜만에 계량을 ... file 이윤정 2013.10.02 4768
91 반찬 마카로니 샐러드 2013/09/30 지금 먹고 있는 마카로니 샐러드. 계란 두 개는 완숙이 되도록 약 10분간 삶고, 파스타 약 200그램정도 소금을 넣은 넉넉한 물에 삶고, 소세지 하나 ... file 이윤정 2013.09.30 6177
90 고기 양곱창, 특양구이, 양볶음밥 2013/09/28 양곱창, 특양구이, 양볶음밥 양곱창 양+곱창을 말하는데 양은 소의 1위를 이야기 하고 곱창은 소의 소창을 이야기한다. 오늘 먹은 건 곱창은 아니고 ... file 이윤정 2013.09.28 14235
89 고기 매운돼지갈비찜, 돼지갈비찜 2013/09/27 매운돼지갈비찜, 돼지갈비찜 사용한 재료는 돼지갈비 1키로 국간장약간 월계수잎 배, 양파, 마늘 간 것 합해서 300그램 간장, 고운고춧가루, 설탕, 다... file 이윤정 2013.09.27 4102
88 국 찌개 꽁치통조림 김치찌개 2013/09/26 꽁치통조림 김치찌개 꽁치캔이 집에 하나 생겨서 별 고민없이 꽁치통조림김치찌개를 만들기로 하고 김치와 꽁치통조림만 사용해서 푹 끓여냈다. 국물... file 이윤정 2013.09.26 10125
87 밥류 김치볶음밥, 김치참치볶음밥 2013/09/25 김치볶음밥, 김치참치볶음밥 김치볶음밥은 먼저 김치가 맛있어야 하고, 불 앞에 서서 쉬지 않고 열심히 볶아야 하는 것은 당연하고, 그 외에 취향에 ... file 이윤정 2013.09.25 4483
86 고기 소꼬리 꼬리찜 2013/09/15 소꼬리 꼬리찜 소의 꼬리는 꼬리반골과 소꼬리, 흔히 말하는 알꼬리로 나뉘는데 꼬리반골은 주로 사골국을 만들 때 쓰고 알꼬리는 꼬리곰탕이나 꼬리... file 이윤정 2013.09.15 13337
85 국 찌개 소고기무국, 경상도식 얼큰한 소고기무국 2013/09/03 소고기무국, 경상도식 얼큰한 소고기무국 뭇국이 맞는 표기이기는 하나 내 입도 뭇국이 익숙치 않아서 제목은 무국으로 올려본다. 평소에도 밥, 국, ... file 이윤정 2013.09.03 7053
Board Pagination Prev 1 ... 51 52 53 54 55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