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조회 수 8044 추천 수 0 댓글 1




IMG_7941.JPG



낙곱새의 낙지 대신 닭다리살을 넣어서 만들었다.



091b62fdbc62f2de204f6221d0fcb074.JPG

낙곱새는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95445

https://homecuisine.co.kr/hc10/100384


여태 낙곱새양념(=전골다대기)으로 만들 수 있는 종류는 다 만들어보고 있는데 (낙곱새로 검색하면 나온다) 해산물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 사람의 입맛에는 닭곱새가 제일 좋단다.

부산에 곱도리탕이 있는데(이것도 다음에 업로드 예정) 닭도리탕에 대창을 넣은 버전이 있다. 꽤 맛있는데 닭고기+대창의 조합이 좋다는 이야기다.

새우에 조금 까탈스러운 사람은 어지간하면 새우 들어간 건 별로라 하는데 요즘 사용하는 좀 비싼 아르헨티나 붉은새우는 맛있었다.


낙곱새양념을 사용해서 차돌박이나 샤브샤브용 소고기, 대패삼겹살 등을 사용해봤고 이 경우도 당연히 맛있긴 하지만 고기에서 나오는 맛이 낙곱새와는 조금 다른 결과에 도착하게 하는데 닭곱새는 닭고기맛이 강하지 않아서 낙곱새와 비슷한 맛을 유지하면서도 먹을 게 많은 느낌이 괜찮다.


대창이 없으면 소고기 기름을 볶아서 낸 소기름을 약간 넣어도 좋고, 차돌박이를 약간 넣어도 좋다.


낙지가 은근히 구비하기 번거로운 재료인데 국산낙지는 비싸고, 수입산 낙지는 식재료 판매점에 가야하고 낙지를 소금이나 밀가루로 박박 씻어서 먹기 좋게 손질하는 것도 좀 번거로운데 그 와중에 닭다리살이 아주 좋은 대안이긴 하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전골다대기 - https://homecuisine.co.kr/hc10/95421

낙곱새양념(=전골다대기) 1회분

고운고춧가루 30그램(4스푼)

고추장 12그램 (0.5스푼)

간장 20그램 (1스푼+1티스푼)

친수피시소스 20그램 (1스푼+1티스푼)

다진마늘 50그램 (3스푼)

다진대파 50그램 (흰부분 1대)

미림 15그램 (1스푼)

설탕 10그램 (2티스푼)

생강가루, 후추 약간

(고추장 0.5스푼은 애매하니까 1티스푼을 사용해도 괜찮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재료 (2~3인분)

양파 큰 것 1개

대파 흰대 2대

닭다리살 4개 (500~600그램)

대창 100그램

새우 150그램 (해동 후)

낙곱새양념 200그램

사골육수 300~350미리 (양파 크기가 크면 육수 양을 조금 줄인다.)

당면사리 100그램 (불린 후 200그램)


선택재료
냉동우동사리1개 (+사골육수 50~100미리)

밥, 참기름, 김가루 (+쪽파나 대파)




1. 양념장을 미리 만들어 둔다.


2. 당면을 찬물에 불린다. 최소 1~2시간 불리는데 전날 불려서 냉장고에 넣었다가 사용해도 좋다.


3. 새우는 크면 편으로 썰어서 준비하고 대창은 잘 씻은 다음 반으로 갈라서 1센치크기로 썬다.

닭다리살은 주방용 가위를 사용해서 껍질과 기름, 힘줄을 최대한 손질하고 한 입 크기로 먹기 좋게 자른다.

*대창의 소기름이 들어가야 고소한데 또 닭기름은 최대한 없는 것이 맛이 좋았다.


4.양파는 1센치 크기로 깍둑썰고, 대파는 반으로 갈라서 양파와 비슷한 크기로 썬다.
*재료의 크기가 전부 비슷하도록 준비하면 한스푼에 여러재료가 올라가서 좋고, 밥에 비벼먹기도 좋다.


5. 준비한 재료를 전부 전골냄비에 넣고 불린당면, 낙곱새양념, 사골육수를 붓고 센불로 조리를 시작한다.
*시판사골육수 1팩이 500미리인데 300정도 붓고 중간에 필요하면 400까지 사용한다. 사리를 넣을 때 필요하면 나머지 100미리를 붓는다. 전골뚝배기보다 무쇠솥을 사용하면 수분이 덜 날아가서 이전 레시피에 비해 초반에 넣는 육수양을 조금 줄였다.


6. 끓기 시작하면 7분정도 약간 센 불로 잘 저어가면서 각 재료들도 익고 당면이 투명하게 익고 국물이 짜글짜글하도록 익힌다.

*불의 세기나 팬의 넓이, 깊이, 저어주는 횟수, 실온 온도 등에 따라 시간이 다르다. 불린 당면이 두꺼운 당면인지, 얇은 당면인지, 재료가 냉장고에 있었는지, 실온에 있었는지, 시판 사골육수를 보관한 곳이 차가운지 아닌지 등등

*당면이 다 익었는데 쪼끔 더 짜글짜글하면 좋겠다 싶을 때는 한 국자 떠서 밥에 올리면 국물이 금방 아주 짜글짜글해진다. 이때 불을 끄면 적당하다.


7. 적당히 떠서 각자 밥 반공기에 올려서 먹는다.

*사리를 추가하고 싶으면 미리 남겨둔 육수나 양념을 넣고 사리를 함께 넣는다. 적당히 해동한 냉동우동사리나, 삶아서 물기를 뺀 라면사리를 사용한다.


8. 적당히 남긴 다음 밥을 넣고 잘 비비고 불을 켜서 볶은 다음 참기름과 김가루를 넣어서 마무리한다.




IMG_7941.JPG




IMG_7950.JPG




IMG_7950-.jpg



이정도 느낌이 딱 좋다. 당면 호로록 하면 완전 굿ㅋㅋ


IMG_7957.JPG



한 번 떠서 먹으면 금방 짜글짜글해지니까 불을 얼른 끄게 된다.

IMG_7959.JPG




IMG_7965-.jpg



양념은 미리 넉넉히 만들어서 냉동해뒀고 당면 불리고 주재료만 준비하면 금방이라 늘 맛있게 잘 먹고 있다.





  • 땅못 2021.03.26 23:52

    닭곱새!!!! 윤정님 천재세요!!! 저 아직 안해봤긴 한데 왠지 제 입맛에 낙곱새보다 훨 잘맞을 것 같아요!! 윤정님 낙곱새 다대기 레시피야 저는 딱 좋아하는 맛이고 항상 낙곱새 먹을 때마다 곱창이랑 새우는 좋아하는데 낙지는 그럭저럭인데 또 빼기에는 그 감칠맛이 좀 부족하지 않나...싶었는데 닭다리살로 대체해보겠습니다!!! 요새 꽃 완전 활짝 피었더라고요. 막상 비소식 있으니 곧 후두둑 떨어질 거 같아서 꽃구경도 늘 타이밍이 맞아야 하네요 ㅠㅠ 이번주말 바쁘지 않으시면 여유롭게 꽃 볼 수 있으시면 좋겠네요 ㅎㅎ 따뜻한 봄 잘 나고 계시죠? 늘 좋은 레시피 잘 보고 있어요. 감사합니다<333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97 김치, 장아찌, 무침 업그레이드 쌈무, 친수쌈무 6 file 이윤정 2019.12.08 2831
996 전골 탕 맑은 샤브샤브, 피시소스 샤브샤브 file 이윤정 2022.02.28 2831
995 국 찌개 가자미살 미역국 2 file 이윤정 2020.09.07 2833
994 고기 사태편육, 사태수육 file 이윤정 2021.11.16 2839
993 전골 탕 얼큰한 우거지 양지탕 2 file 이윤정 2021.12.15 2840
992 고기 간단 돼지갈비, 갈비양념 file 이윤정 2021.07.21 2845
991 고기 등갈비김치찜 file 이윤정 2014.04.05 2863
990 밥류 새우오므라이스 file 이윤정 2014.03.22 2867
989 밥류 베이컨 아스파라거스 볶음밥 3 file 이윤정 2019.05.30 2867
988 국 찌개 차돌된장찌개 file 이윤정 2022.01.11 2867
987 전골 탕 닭도리탕 1 file 이윤정 2022.04.12 2873
986 국 찌개 조림맛된장으로 강된장, 소라강된장, 우렁강된장 file 이윤정 2021.08.02 2875
985 국 찌개 차돌강된장, 소고기강된장, 조림맛된장 file 이윤정 2022.12.12 2892
984 반찬 참치쌈장 2 file 이윤정 2020.12.07 2917
983 일상 함박스테이크 4 file 이윤정 2020.07.03 2920
982 한그릇, 면 카라멜라이즈 카레, 카레라이스 2 file 이윤정 2021.11.02 2923
981 반찬 깻잎무쌈 file 이윤정 2012.08.09 2927
980 국 찌개 소고기미역국, 소고기미역죽 2 file 이윤정 2021.10.27 2932
979 탕평채, 청포묵무침 file 이윤정 2013.11.17 2936
978 일상 밥상 사진 몇 개 7 file 이윤정 2019.07.06 2939
977 일상 육전, 생선전, 두부계란부침, 계란말이들 6 file 이윤정 2020.12.25 294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55 Next
/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