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IMG_7879.JPG



두부에 친수피시소스로 간을 한 다음 노릇노릇 구운 두부부침이다.

이게 아래 내용의 전부인데 찍된장도 그렇고 오늘 그렇고 또 말이 많다. 잡담부분은 건너뛰면 보기 편하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잡담.


우리 집은 제사가 많은 집이었고 어릴 때부터 전 부치는 건 내 몫이었다. 제수용 두부부침은 큰 손두부를 두툼하게 썰어서 손바닥 만 한 걸 장만해서 부서지지 않게 부쳤다. (평소에는 사이즈 신경쓰지 않고 그냥 대충 부쳤었다.) 재료 준비는 엄마께서 하시니까 제사음식을 시작하는 풍경에는 늘 먼저 두부는 물기를 빼고 있다. 중간에 보면 소금을 뿌려놨고, 여러 전을 다 부치고 나면 거의 마지막으로 두부부침 할 때가 된다.  두부부침을 하고 나면 마지막 오브 마지막으로 제수용이 아닌 식사용으로 정구지찌짐 부치고 남는 재료들 여럿 합해서 채소부침개를 하면 부치는 일은 끝난다. (실질적으로는 제수용 = 관상용이고, 식사용 = 제사 전 대접용이긴 하지만 제사 이야기가 주제는 아니니까 대충 여기까지.)


두부부침은 관성과도 같아서 딱히 사진 찍을 일도 글로 올릴 필요도 없는데 굳이 이야기하자면 약간 두툼하게 썰어서 1시간 이상 물기를 뺀 다음 소금을 뿌려서 소금이 녹으면 살살 문질러서 앞뒤로 골고루 펴바르고 소금을 바른 면에 물기가 배어나오면 한 번 더 물기를 톡톡 닦은 다음 큰 팬에 노릇노릇하게 부친다.


ㅡㅡㅡ


별 생각 없이 늘 똑같이 두부부침을 하다가 소금 대신 친수피시소스를 발라서 구워봤는데 넘 맛있었다. 가 작년..



액젓수육 올릴 때도 별로 내용도 없고 재료도 간단하고 넘 일상적으로 해먹는 거라 따로 올릴 것까지는 없나 싶었다가 그래도 편하고 맛난게 최고지 하고 올렸었는데

액젓수육 올리고 나니 액젓두부부침도 제목이 괜찮은 것 같아서ㅋㅋ 같은 맥락으로 이제야 올린다.


올리려고 마음 먹은 김에 피시소스 계량도 하고 염도 계산도 하고 다른 피시소스나 액젓도 사용해보고 뭐 그랬다.

결론적으로는 친수피시소스가 맛이 덜 짜고 덜 비려서 두부부침에 가장 잘 어울린다.


2013년부터 이야기 했듯이 시장 손두부를 가장 선호하지만 마트에서 사는 것 중에는 홈플러스 초당두부가 최고다.

홈플러스 초당두부는 국내산콩과 수입콩이 있는데 수입콩 초당두부가 작년부터 꽤 오랫동안 홈플러스체크카드로 결제시 1790원이라 싸고 좋다.



아래도 또 잡담인데

홈플러스 초당두부 1모 550그램 - 물기 빼면 수분감량 10프로

물 뺀 후 두부 500그램

염도 0.8%= 소금 4그램

친수소스로 곱하기 5 = 20그램

마지막에 겉면 물기 제거하면서 간이 약해져서 최종적으로 0.7%에 맞아진다.


두부를 다른 걸로 사용할 경우에는

두부의 물기를 뺀 상태에서 두부 100그램 당 친수피시소소를 4그램 사용한다.


친수피시소스를 강조하는 이유는 내가 테스트한 바로는 이걸로 하는 게 제일 맛있기 때문이다. 대체재료 없음.




두부에 피시소스가 스며들려면 먼저 두부 물기를 빼고 (1시간+)

그 다음에 피시소스를 골고루 발라서 스며들게 둔다. (5~10분정도) 꽤 금방 전부 스며든다.

남은 수분을 키친타올로 살짝 톡톡 눌러 없앤 다음

예열하고 기름을 두른 팬에 노릇노릇하게 굽는다.

가 끝이다.




물기를 많이 빼려고 반나절 이상 냉장보관해서 빼보기도 하고, 피시소스 뿌려서 간이 스며들도록 하는 시간도 6시간 이상 해보기도 했다. 


이렇게 하면 조금 더 쫀쫀하기는 하지만 시간이 없을 경우에도 굳이 6시간이상 물기를 빼려고 신경써야하거나, 아 6시간 이상 물기 뺄 시간이 없으니 이건 이번엔 못해먹겠네 할 정도의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었다.


물기 빼지 못해서 못해먹는 것 보다는 시간이 없어서 바로 썰어서라도 해먹는 것이 더 이득이다.


아주 아예 시간이 없을 때는 두부에 물기 빼는 걸 먼저 하고 밥하고 하는 짧은 시간 정도로 10분정도만 물기를 빼기도 하기도 하는데 이 때는 물기를 뺄 때 키친타올을 앞뒤로 해서 빨리 물기를 빼는 것이 좋고, 굽고 난 다음에도 키친타올에 올려서 물기를 조금 더 빼면 적당하다.


피시소스 절이는 시간도 두부에 앞뒤로 묻혀서 톡톡 하면 꽤 금방 스며드니까 시간 신경쓰지 말고 만만하고 편하게 자주 만들어 먹는 것이 가장 좋다.




잡담끝.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재료


초당두부 1모 (550그램)

친수피시소스 20그램

식용유 적당량



1. 손두부는 6등분으로 썬다.

 (처음부터 먹기 좋게 작게 썰어서 해도 좋다.)


2. 키친타올에 올려서 최소 30분에서 1시간정도 물기를 뺀다.


3. 두부에 피시소스를 뿌려서 앞뒤로 골고루 발라 스며들도록 한다. 바르면 아주 금방 스며드는데 피시소스 향이 휘발되도록 5~10분정도 두면 좋다.


4. 충분히 스며든 다음에는 굽기 직전에 두부의 앞뒤를 키친타올로 한 번 더 톡톡 해서 물기가 없도록 한다.


5. 팬을 예열하고 기름을 두른 다음 앞뒤로 노릇노릇 지져낸다.

(취향에 따라 마지막에 들기름 살짝 넣어서 향을 내도 좋다.)


6. 식힘망에 올려서 겉면이 축축하기 않고 쫀쫀하도록 하면서 약간 식힌다.

 (두부 물기 빼는 시간이 짧았을 때는 키친타올에 올려 추가로 물기를 뺀다.)


7. 한 입 크기로 썰어서 접시에 담는다.





1.

IMG_7702.JPG



2.

IMG_8025-.jpg



3.

IMG_7836.JPG




IMG_7840.JPG



4.

IMG_7841.JPG



5.

IMG_7717.JPG




IMG_7720.JPG




IMG_7728.JPG




6. 두부를 구운 다음에는

미리 물기를 뺀 상태에 따라 식힘망에 올릴 경우도 있고IMG_7735.JPG




키친타올에 올려 물기를 더 뺄 수도 있다.

IMG_7866.JPG




7.

IMG_7868.JPG






IMG_7879.JPG




IMG_7887.JPG



두부를 구울 때는 약간 꼬릿꼬리한 액젓 냄새가 나는데 굽고 나면 언제 그랬나 싶다.



최종적으로 0.7%정도로 간을 맞췄으니 당연히 간이 딱이다.

두부 속까지 간이 배어서 맨입에 먹기도 좋고 반찬으로도 좋다.


친수피시소스의 향은 휘발되고 짭조름한 감칠맛이 남는다.

두부부침이 뭐라고 왜 이렇게 맛있지? 싶다.






  • 부루꾸링 2021.03.20 22:57

    어릴때 제가 살던 시골은
    겨울에는 솥걸어 두부 만들고..

    덥고 바쁜 봄 여름에는 두부아저씨가

    딸랑딸랑 소리내며 두부팔러 오셨어요

    온동네 딸랑딸랑 소리나면 엄마가

    쥐어준 천원으로 두부 두모 가량 손에

    들고 집에 가면서 귀퉁이 떼먹기 시작해

    집에 도착하면 두부 네 귀퉁이 성한곳

    없습니다 ㅎㅎㅎ

    그럼 더러는 뜨신물 끼얹어 데워서
    두부회로 먹고 또 더러는 두부전 지져

    졸이거나 간장에 찍어먹는데..

    막한 두부는 몰 해도 맛있어요

    나름 제게는 두부가 소울푸드라 집에
    떨어지지 않게 두는데 친수소스를 끼얹은
    두부지짐이라니 생각만 해도 맛있네요

    곧 이사에 혼자 있어야해서
    바로는 못 해먹겠지만 날 풀리고

    집에서 밥하게 되면 바로 해볼께요

    윤정님의 소소한 이야기가 음식을 넘어
    얼굴 맞대고 대화하는 느낌이라 더 좋아요^^

  • 이윤정 2021.03.23 02:23
    와 부루꾸링님 댓글을 읽으면서 부루꾸링님의 어린시절 시골이 앞에 그려지는데다가 넘 술술 잘 읽혀서 한 편의 아름다운 시를 읽은 것 같아요.
    본문에 비해 이렇게 과분한 댓글은 곱씹어 읽어야해서 또 보고 또 봤어요.
    사드셔도 만들어드셔도 언제나 금방 만들어 포근한 그 두부가 천원 쥐어주신 어머님 모습과 함께 눈에 아른합니다.
    역시 누구에게나 소울푸드는 이렇게 마음을 울리는 면이 있는 것 같아요.

    친수피쉬소스 바르는 건 소소한 팁으로 생각해주세요ㅎㅎ
    이사 무사히 마치시길 바라요.
    이사 마치시고 이렇게 해드실거죠? 부루꾸링님이 이렇게 부쳐서 순간이 제가 이걸 해먹는 순간과 같지는 않더라도 시간이 무슨 상관이겠어요.
    같은 음식 나눠 먹으면 괜히 이웃같고 그런 걸요^^
  • 레드지아 2021.03.22 12:01

    홈플러스카드가 없어서 전 항상 초당두부를 홈플러스에서 볼때마다 안타깝더라구요 ㅋㅋㅋ

    제가 사용하는 카드가 꽤 여러개라 그거 실적 채우느냐고 급급하거든요 ㅠ

     

    친수피쉬소스 대체할것이 없다니..꺄아!! 아주 좋아요!!!!

    보기에도 노릇노릇하니 한입 베어물면 고소~~~함이 느껴지는거 같아요 ^^

  • 이윤정 2021.03.23 02:27
    저는 카드관리는 하도 복잡해서 제가 안하지만ㅎㅎ 실적 채우는 거 관리하는 사람 말로는
    홈플러스에서 이 두부 살 때는 홈플제휴체크카드로 두부만 따로 결제한다고 해요ㅎㅎ
    참 부지런도 하죠ㅎㅎㅎㅎ 그치만 그렇게 부지런한 사람 덕분에 두부 양껏 사먹고 있어요ㅎㅎ
    여러번 테스트해서 간도 딱 맞춘 다음 딱 그대로 자주 부쳐 먹거든요. 저하고 입맛 비슷하신 레드지아님 입맛에도 맞으실 거에요ㅎ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84 한접시, 일품 찜닭 아주 오랜만에 올리는 찜닭. 보통 닭도리탕용 닭을 사용하지만 우리집에서는 손질하기 편한 닭다리를 주로 사용한다. 닭다리는 깨끗하게 씻은 다음 데치거나 구워... 3 file 이윤정 2021.03.22 6588
» 반찬 친수두부부침, 액젓두부부침 두부에 친수피시소스로 간을 한 다음 노릇노릇 구운 두부부침이다. 이게 아래 내용의 전부인데 찍된장도 그렇고 오늘 그렇고 또 말이 많다. 잡담부분은 건너뛰면 ... 4 file 이윤정 2021.03.20 4779
982 김치, 장아찌, 무침 채소무침 기본, 양배추무침 상추무침, 파절이, 알배추무침, 양배추무침, 부추무침이 다 비슷한 애들인데 삼겹살, 항정살, 등심덧살 등 구이용 고기를 굽거나 찔 때 곁들이는 반찬으로 주로 ... 6 file 이윤정 2021.03.10 5504
981 반찬 찍된장, 경상도식 순대막장 찍된장, 경상도식 순대막장 서론이 너무 기니까 레시피 먼저 범일콩된장 150그램 물엿 60그램 물 20그램 고춧가루 1티스푼 (있으면 양파분 마늘분을 톡톡 넣고 미... 4 file 이윤정 2021.03.05 5563
980 일상 길거리토스트, 옛날토스트, 햄치즈토스트 양배추를 계란에 넣고 두툼하게 부치는 양배추 계란부침은 이 것만으로는 완제품 반찬으로 쳐주지도 않고, 양배추 계란부침이 대체 왜 존재하는지 어디가 맛있는... 4 file 이윤정 2021.02.28 4681
979 일상 고기순대볶음밥 몇 달 전에 올렸던 고기순대볶음밥은 여전히 자주 해먹고 있다. 전에도 이야기 했듯이 순대구이 + 후식볶음밥 구성에서 볶음밥을 메인으로 올린 것이다. 대표적인... 2 file 이윤정 2021.02.22 3164
978 고기 소고기 안심으로 육전 (잡담주의) 소고기 안심으로 육전을 부쳤다. 육전은 육즙논쟁에서 거리가 있는 음식이지만 육즙논쟁의 솔루션이기도 하다. 고기가 익으면서 고기 밖으로 빠져나간... 2 file 이윤정 2021.02.19 5519
977 국 찌개 경상도식 소고기뭇국, 소고기무국, 소고기국 아주 오랜만에 국에 사용할 국거리 소고기를 많이 샀다. 요즘은 채소도 그렇고 소고기가 많이 비싸서 선뜻 소고기 사기가 편하지가 않다. 그래서 또 미트박스에서... 4 file 이윤정 2021.02.17 6468
976 일상 김밥, 떡볶이, 남은 김밥으로 김밥튀김, 김밥전 너무 일상적이라서 너무 대충 해먹고 그래서 오히려 오랜만에 올리게 되는 김밥. 김밥을 한 번 싸면 10줄이 기본인데 둘이 먹기에는 2.5번정도 먹을 분량이라서 ... 4 file 이윤정 2021.02.15 4960
975 한접시, 일품 매콤 허니간장치킨 이전에 올린 허니간장치킨과 내용이 거의 똑같다. https://homecuisine.co.kr/hc10/98532 아랫날개 대신 윗날개를 사용했고 소스 배합을 조금 바꿨다. 전에 교촌... 6 file 이윤정 2021.02.08 4904
974 고기 등심덧살로 돼지고기 김치찜, 두부김치 돼지고기와 김치를 푹 끓이고 졸인 김치찜에 뜨끈한 손두부를 곁들였다. 1. 두부 두부김치니까 두부를 잘 고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마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 2 file 이윤정 2021.02.06 5064
973 고기 액젓수육, 피시소스로 항정살수육 수육을 삶을 때 여러 재료 넣지 않고 신선한 고기를 사용해서 피시소스와 후추 정도만 넣어서 수육을 삶는 방법이다. 수육을 삶는 동안 피시소스의 액젓향은 휘발... 8 file 이윤정 2021.02.02 7164
972 전골 탕 소고기 된장전골 찌개맛된장을 사용한 소고기 된장전골. 맛된장이라고 거창한 건 아니고 평소 된장찌개 만들 때 꺼내오는 재료를 분량을 늘여서 미리 배합해둔 것이고, 간조절에 ... 2 file 이윤정 2021.02.01 5192
971 반찬 양념새우젓, 와사비양념새우젓, 알배추무침 보쌈이나 족발 등에 곁들이는 양념새우젓. 와사비양념새우젓 (3~4인분) 새우젓 1스푼 친수피시소스 1스푼 고춧가루 1티스푼 다진마늘 1티스푼 (냉동 후 해동한 것... 2 file 이윤정 2021.01.30 4354
970 전골 탕 낙곱새, 낙지볶음, 레시피, 만들기 겨울이면 밥상에서 불을 켜고 해먹는 음식을 자주 만드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좋아하는 것이 낙곱새이다. 낙곱새양념(=전골다대기)을 대량으로 만들어두었다가 사... 6 file 이윤정 2021.01.27 7182
969 일상 퐁듀치즈를 올린 햄야채볶음밥 오랜만에 라자냐를 하려고 리코타치즈를 사는데 마트에 매일 리코타치즈가 너무 비싸서 인터넷으로 구매했다. 배송비 들이는 김에 코다노 슈레드치즈와 매일 퐁듀... 6 file 이윤정 2021.01.24 2868
968 국 찌개 등심덧살로 돼지고기 고추장찌개 갈매기살로 고추장찌개를 많이 해먹었는데 이번에는 집에 등심덧살이 많아서 등심덧살을 사용했다. (항정살과 등심덧살을 각각 5키로씩 사둬서 열심히 쓸 수 밖에... 2 file 이윤정 2021.01.22 5159
967 전골 탕 부대볶음 부대찌개보다 훨씬 더 자주 만드는 부대볶음. 부대찌개에 들어가는 재료를 끓이지 않고 볶아서 만든다. 레시피는 맨날 똑같다. 평소 좋아하는 햄이나 소세지를 사... 6 file 이윤정 2021.01.10 5081
966 국 찌개 애호박 돼지찌개, 애호박찌개 양파, 대파, 고추, 애호박, 두부 같은 기본 재료는 늘 집에 구비해두는 편이라면 편하게 만들기 좋은 애호박 돼지찌개. 평범한 재료로 만드는 평범한 찌개이지만 ... 4 file 이윤정 2021.01.06 44909
965 고기 간단 육수불고기 불고기전골, 뚝배기불고기라고도 부르는데 이번에는 육수불고기로 제목을 정해봤다. 완전 간단 초간단이니까 아래 내용 넘어가고 재료와 과정만 보면 굿이다. 불... 6 file 이윤정 2020.12.29 6320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