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IMG_7879.JPG



두부에 친수피시소스로 간을 한 다음 노릇노릇 구운 두부부침이다.

이게 아래 내용의 전부인데 찍된장도 그렇고 오늘 그렇고 또 말이 많다. 잡담부분은 건너뛰면 보기 편하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잡담.


우리 집은 제사가 많은 집이었고 어릴 때부터 전 부치는 건 내 몫이었다. 제수용 두부부침은 큰 손두부를 두툼하게 썰어서 손바닥 만 한 걸 장만해서 부서지지 않게 부쳤다. (평소에는 사이즈 신경쓰지 않고 그냥 대충 부쳤었다.) 재료 준비는 엄마께서 하시니까 제사음식을 시작하는 풍경에는 늘 먼저 두부는 물기를 빼고 있다. 중간에 보면 소금을 뿌려놨고, 여러 전을 다 부치고 나면 거의 마지막으로 두부부침 할 때가 된다.  두부부침을 하고 나면 마지막 오브 마지막으로 제수용이 아닌 식사용으로 정구지찌짐 부치고 남는 재료들 여럿 합해서 채소부침개를 하면 부치는 일은 끝난다. (실질적으로는 제수용 = 관상용이고, 식사용 = 제사 전 대접용이긴 하지만 제사 이야기가 주제는 아니니까 대충 여기까지.)


두부부침은 관성과도 같아서 딱히 사진 찍을 일도 글로 올릴 필요도 없는데 굳이 이야기하자면 약간 두툼하게 썰어서 1시간 이상 물기를 뺀 다음 소금을 뿌려서 소금이 녹으면 살살 문질러서 앞뒤로 골고루 펴바르고 소금을 바른 면에 물기가 배어나오면 한 번 더 물기를 톡톡 닦은 다음 큰 팬에 노릇노릇하게 부친다.


ㅡㅡㅡ


별 생각 없이 늘 똑같이 두부부침을 하다가 소금 대신 친수피시소스를 발라서 구워봤는데 넘 맛있었다. 가 작년..



액젓수육 올릴 때도 별로 내용도 없고 재료도 간단하고 넘 일상적으로 해먹는 거라 따로 올릴 것까지는 없나 싶었다가 그래도 편하고 맛난게 최고지 하고 올렸었는데

액젓수육 올리고 나니 액젓두부부침도 제목이 괜찮은 것 같아서ㅋㅋ 같은 맥락으로 이제야 올린다.


올리려고 마음 먹은 김에 피시소스 계량도 하고 염도 계산도 하고 다른 피시소스나 액젓도 사용해보고 뭐 그랬다.

결론적으로는 친수피시소스가 맛이 덜 짜고 덜 비려서 두부부침에 가장 잘 어울린다.


2013년부터 이야기 했듯이 시장 손두부를 가장 선호하지만 마트에서 사는 것 중에는 홈플러스 초당두부가 최고다.

홈플러스 초당두부는 국내산콩과 수입콩이 있는데 수입콩 초당두부가 작년부터 꽤 오랫동안 홈플러스체크카드로 결제시 1790원이라 싸고 좋다.



아래도 또 잡담인데

홈플러스 초당두부 1모 550그램 - 물기 빼면 수분감량 10프로

물 뺀 후 두부 500그램

염도 0.8%= 소금 4그램

친수소스로 곱하기 5 = 20그램

마지막에 겉면 물기 제거하면서 간이 약해져서 최종적으로 0.7%에 맞아진다.


두부를 다른 걸로 사용할 경우에는

두부의 물기를 뺀 상태에서 두부 100그램 당 친수피시소소를 4그램 사용한다.


친수피시소스를 강조하는 이유는 내가 테스트한 바로는 이걸로 하는 게 제일 맛있기 때문이다. 대체재료 없음.




두부에 피시소스가 스며들려면 먼저 두부 물기를 빼고 (1시간+)

그 다음에 피시소스를 골고루 발라서 스며들게 둔다. (5~10분정도) 꽤 금방 전부 스며든다.

남은 수분을 키친타올로 살짝 톡톡 눌러 없앤 다음

예열하고 기름을 두른 팬에 노릇노릇하게 굽는다.

가 끝이다.




물기를 많이 빼려고 반나절 이상 냉장보관해서 빼보기도 하고, 피시소스 뿌려서 간이 스며들도록 하는 시간도 6시간 이상 해보기도 했다. 


이렇게 하면 조금 더 쫀쫀하기는 하지만 시간이 없을 경우에도 굳이 6시간이상 물기를 빼려고 신경써야하거나, 아 6시간 이상 물기 뺄 시간이 없으니 이건 이번엔 못해먹겠네 할 정도의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었다.


물기 빼지 못해서 못해먹는 것 보다는 시간이 없어서 바로 썰어서라도 해먹는 것이 더 이득이다.


아주 아예 시간이 없을 때는 두부에 물기 빼는 걸 먼저 하고 밥하고 하는 짧은 시간 정도로 10분정도만 물기를 빼기도 하기도 하는데 이 때는 물기를 뺄 때 키친타올을 앞뒤로 해서 빨리 물기를 빼는 것이 좋고, 굽고 난 다음에도 키친타올에 올려서 물기를 조금 더 빼면 적당하다.


피시소스 절이는 시간도 두부에 앞뒤로 묻혀서 톡톡 하면 꽤 금방 스며드니까 시간 신경쓰지 말고 만만하고 편하게 자주 만들어 먹는 것이 가장 좋다.




잡담끝.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재료


초당두부 1모 (550그램)

친수피시소스 20그램

식용유 적당량



1. 손두부는 6등분으로 썬다.

 (처음부터 먹기 좋게 작게 썰어서 해도 좋다.)


2. 키친타올에 올려서 최소 30분에서 1시간정도 물기를 뺀다.


3. 두부에 피시소스를 뿌려서 앞뒤로 골고루 발라 스며들도록 한다. 바르면 아주 금방 스며드는데 피시소스 향이 휘발되도록 5~10분정도 두면 좋다.


4. 충분히 스며든 다음에는 굽기 직전에 두부의 앞뒤를 키친타올로 한 번 더 톡톡 해서 물기가 없도록 한다.


5. 팬을 예열하고 기름을 두른 다음 앞뒤로 노릇노릇 지져낸다.

(취향에 따라 마지막에 들기름 살짝 넣어서 향을 내도 좋다.)


6. 식힘망에 올려서 겉면이 축축하기 않고 쫀쫀하도록 하면서 약간 식힌다.

 (두부 물기 빼는 시간이 짧았을 때는 키친타올에 올려 추가로 물기를 뺀다.)


7. 한 입 크기로 썰어서 접시에 담는다.





1.

IMG_7702.JPG



2.

IMG_8025-.jpg



3.

IMG_7836.JPG




IMG_7840.JPG



4.

IMG_7841.JPG



5.

IMG_7717.JPG




IMG_7720.JPG




IMG_7728.JPG




6. 두부를 구운 다음에는

미리 물기를 뺀 상태에 따라 식힘망에 올릴 경우도 있고IMG_7735.JPG




키친타올에 올려 물기를 더 뺄 수도 있다.

IMG_7866.JPG




7.

IMG_7868.JPG






IMG_7879.JPG




IMG_7887.JPG



두부를 구울 때는 약간 꼬릿꼬리한 액젓 냄새가 나는데 굽고 나면 언제 그랬나 싶다.



최종적으로 0.7%정도로 간을 맞췄으니 당연히 간이 딱이다.

두부 속까지 간이 배어서 맨입에 먹기도 좋고 반찬으로도 좋다.


친수피시소스의 향은 휘발되고 짭조름한 감칠맛이 남는다.

두부부침이 뭐라고 왜 이렇게 맛있지? 싶다.






  • 부루꾸링 2021.03.20 22:57

    어릴때 제가 살던 시골은
    겨울에는 솥걸어 두부 만들고..

    덥고 바쁜 봄 여름에는 두부아저씨가

    딸랑딸랑 소리내며 두부팔러 오셨어요

    온동네 딸랑딸랑 소리나면 엄마가

    쥐어준 천원으로 두부 두모 가량 손에

    들고 집에 가면서 귀퉁이 떼먹기 시작해

    집에 도착하면 두부 네 귀퉁이 성한곳

    없습니다 ㅎㅎㅎ

    그럼 더러는 뜨신물 끼얹어 데워서
    두부회로 먹고 또 더러는 두부전 지져

    졸이거나 간장에 찍어먹는데..

    막한 두부는 몰 해도 맛있어요

    나름 제게는 두부가 소울푸드라 집에
    떨어지지 않게 두는데 친수소스를 끼얹은
    두부지짐이라니 생각만 해도 맛있네요

    곧 이사에 혼자 있어야해서
    바로는 못 해먹겠지만 날 풀리고

    집에서 밥하게 되면 바로 해볼께요

    윤정님의 소소한 이야기가 음식을 넘어
    얼굴 맞대고 대화하는 느낌이라 더 좋아요^^

  • 이윤정 2021.03.23 02:23
    와 부루꾸링님 댓글을 읽으면서 부루꾸링님의 어린시절 시골이 앞에 그려지는데다가 넘 술술 잘 읽혀서 한 편의 아름다운 시를 읽은 것 같아요.
    본문에 비해 이렇게 과분한 댓글은 곱씹어 읽어야해서 또 보고 또 봤어요.
    사드셔도 만들어드셔도 언제나 금방 만들어 포근한 그 두부가 천원 쥐어주신 어머님 모습과 함께 눈에 아른합니다.
    역시 누구에게나 소울푸드는 이렇게 마음을 울리는 면이 있는 것 같아요.

    친수피쉬소스 바르는 건 소소한 팁으로 생각해주세요ㅎㅎ
    이사 무사히 마치시길 바라요.
    이사 마치시고 이렇게 해드실거죠? 부루꾸링님이 이렇게 부쳐서 순간이 제가 이걸 해먹는 순간과 같지는 않더라도 시간이 무슨 상관이겠어요.
    같은 음식 나눠 먹으면 괜히 이웃같고 그런 걸요^^
  • 레드지아 2021.03.22 12:01

    홈플러스카드가 없어서 전 항상 초당두부를 홈플러스에서 볼때마다 안타깝더라구요 ㅋㅋㅋ

    제가 사용하는 카드가 꽤 여러개라 그거 실적 채우느냐고 급급하거든요 ㅠ

     

    친수피쉬소스 대체할것이 없다니..꺄아!! 아주 좋아요!!!!

    보기에도 노릇노릇하니 한입 베어물면 고소~~~함이 느껴지는거 같아요 ^^

  • 이윤정 2021.03.23 02:27
    저는 카드관리는 하도 복잡해서 제가 안하지만ㅎㅎ 실적 채우는 거 관리하는 사람 말로는
    홈플러스에서 이 두부 살 때는 홈플제휴체크카드로 두부만 따로 결제한다고 해요ㅎㅎ
    참 부지런도 하죠ㅎㅎㅎㅎ 그치만 그렇게 부지런한 사람 덕분에 두부 양껏 사먹고 있어요ㅎㅎ
    여러번 테스트해서 간도 딱 맞춘 다음 딱 그대로 자주 부쳐 먹거든요. 저하고 입맛 비슷하신 레드지아님 입맛에도 맞으실 거에요ㅎ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8 반찬 가지볶음 만들기, 레시피 가지는 가지에 소금을 약간만 뿌려서 절인 다음 물기를 닦고 밀가루옷을 입혀서 굽거나 튀기는 과정을 거쳐서 완성하는 이탈리안음식이나 중국음식에 아주 잘 어... 4 file 이윤정 2021.04.30 5495
197 반찬 부드러운 계란찜 푸딩같은 질감의 부드러운 계란찜. 이런 식감의 계란찜을 하려면 냄비나 그릇을 여럿 사용해야 하고 찜기도 꺼내야 하는데 계란찜 하나 만들자고 하기에는 함께 ... 4 file 이윤정 2021.04.10 8175
» 반찬 친수두부부침, 액젓두부부침 두부에 친수피시소스로 간을 한 다음 노릇노릇 구운 두부부침이다. 이게 아래 내용의 전부인데 찍된장도 그렇고 오늘 그렇고 또 말이 많다. 잡담부분은 건너뛰면 ... 4 file 이윤정 2021.03.20 4770
195 반찬 찍된장, 경상도식 순대막장 찍된장, 경상도식 순대막장 서론이 너무 기니까 레시피 먼저 범일콩된장 150그램 물엿 60그램 물 20그램 고춧가루 1티스푼 (있으면 양파분 마늘분을 톡톡 넣고 미... 4 file 이윤정 2021.03.05 5551
194 반찬 양념새우젓, 와사비양념새우젓, 알배추무침 보쌈이나 족발 등에 곁들이는 양념새우젓. 와사비양념새우젓 (3~4인분) 새우젓 1스푼 친수피시소스 1스푼 고춧가루 1티스푼 다진마늘 1티스푼 (냉동 후 해동한 것... 2 file 이윤정 2021.01.30 4345
193 반찬 참치쌈장 양배추쪄서 쌈 싸먹으려고 양배추를 찌면서 양념장을 뭘할까 하다가 참치쌈장을 만들었다. 맛된장으로 만든 참치쌈된장을 https://homecuisine.co.kr/hc10/89092 ... 2 file 이윤정 2020.12.07 4141
192 반찬 생선전, 달고기전 (생선살에 밀가루 묻히고 계란물 입히는 거라 별 내용 없음) 생선전을 비롯한 제수용 전이 다 그렇듯이 듬뿍 굽고 시간이 많이 지나서 먹는 경우가 많다. 어릴 때... 4 file 이윤정 2020.09.21 5017
191 반찬 된장오이무침, 오이무침 밥상에 채소가 없을 때 얼른 무쳐서 밥상에 올리는 반찬인 오이무침. 미니오이가 나는 철이면 밥상에 오이가 빠지지 않는 편이라서 오이는 무치지 않고 그냥 썰어... 2 file 이윤정 2020.08.28 3416
190 반찬 대충대충 참치전 평소에 참치전을 할 때는 참치를 기름이나 참치즙을 따라 버리지 않고 캔 째로 팬에 붓고 수분이 날아가도록 볶은 다음 식히고 계란물에 볶은 참치를 넣고 한스푼... 6 file 이윤정 2020.08.14 3039
189 반찬 박나물 만드는법, 나물비빔밥 바특하게 볶거나 무친 것이 아니라 국물이 자작하게 있는 무나물같은 박나물이다. 박은 계절을 타는 식재료인데다가 쉽게 집에 데리고 오기 좋은 재료도 아니면서... 2 file 이윤정 2020.07.31 8100
188 반찬 고구마순 조림 딱 제철일 때만 먹을 수 있는 고구마순을 볶음이나 조림으로 해서 먹으면 아삭하면서 달큰하니 맛있다. 고구마순 조림을 했으면 무와 당근, 애호박, 가지, 콩나물... 2 file 이윤정 2020.06.08 5924
187 반찬 두부계란부침 두부를 부치고 계란물을 부어 포근하게 구워내는 두부계란부침. 늘 집에 있는 재료로 편하게 만들기 좋다. 일상적인 반찬이지만 밥상이 괜히 허전할 때 아주 딱이... 2 file 이윤정 2020.06.04 6874
186 반찬 아스파라거스 소고기볶음 아직도 끝나지 않은 아스파라거스. 그런데 또 남아 있다. 소고기와 아스파라거스를 각각 볶아서 덮밥소스에 볶았다. 사용한 재료는 소고기다짐육 200그램 아스파... 4 file 이윤정 2020.05.25 3655
185 반찬 간이 딱 맞는 뚝배기 계란찜 찜통에 쪄서 만드는 부드러운 계란찜을 좋아하는데 오랜만에 뚝배기 계란찜을 여러번 만들었다. 뚝배기 대신에 무쇠를 사용했다. 어떤조리도구를 사용하든지간에 ... 6 file 이윤정 2020.05.23 5779
184 반찬 두부조림, 양념장, 레시피 평소에 두부조림은 아무 생각없이 만드는 편이라 따로 계량을 잘 하지 않는 편이다. 이번에는 육수를 사용하는 대신 편하게 친수시소스를 사용했고, 친수피시소스... 2 file 이윤정 2020.05.18 5393
183 반찬 가지 소고기 볶음, 소고기가지볶음 가지를 굽고 소고기를 볶은 다음 합해서 짭조름하게 볶은 밥반찬이다. 볶은 다음 육수를 약간 붓고 물전분으로 농도를 내서 덮밥으로 먹어도 맛있다. 사용한 재료... 6 file 이윤정 2020.05.16 7854
182 반찬 꽈리고추 대패삼겹살볶음 꽈리고추를 다듬어서 대패삼겹살, 양파, 대파를 양념과 함께 볶아 짭조름하니 밥반찬으로 좋은 꽈리고추 대패삼겹살볶음. 고추잡채와도 비슷한 맛이 나니까 꽃빵... 2 file 이윤정 2020.04.14 7086
181 반찬 배추전, 양념장 겨울에 가끔 부쳐먹던 소박한 배추찌짐이다. 우리집에서는 제사에 올리지 않은 전이라서 평소에 가끔 먹었었다. (우리집 기준) 담치정구지찌짐같은 소울푸드도 아... 4 file 이윤정 2020.03.16 24612
180 반찬 콜라비생채, 무생채 엄마께서는 철마다 고구마, 마늘, 당귀, 죽순, 비트, 표고버섯, 굴, 블루베리 등 패턴 없이 이것저것에 막 꽂히시는데 요즘 시즌은 콜라비와 박대이다. 꽂히셨다 ... 2 file 이윤정 2020.03.13 3474
179 반찬 블랙빈소스 새송이버섯볶음 창잉터우 https://homecuisine.co.kr/hc20/78462 를 만들고 남은 중화검은콩소스 (블랙빈소스). 이 블랙빈소스로 만드는 것 중에 유명한 것이 블랙빈소스 조개볶... 2 file 이윤정 2020.02.18 568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