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 찌개

애호박 돼지찌개, 애호박찌개

by 이윤정 posted Jan 06, 202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IMG_6087.JPG



양파, 대파, 고추, 애호박, 두부 같은 기본 재료는 늘 집에 구비해두는 편이라면 편하게 만들기 좋은 애호박 돼지찌개.

평범한 재료로 만드는 평범한 찌개이지만 고기, 채소, 두부의 밸런스가 좋아서 밥상의 메인음식으로도 만들기 좋다.


고기는 목살이나 앞다리살을 사용해도 좋은데 이번에는 등심덧살을 사용했다. (내취향)
미트박스에서 등심덧살을 사서 매번 구워먹다가 찌개에도 사용했다. 육향이 적고 쫄깃쫄깃한 등심덧살이 찌개에 아주 잘 어울린다. 삼겹살이나 목살로 찌개를 끓여서 먹다보면 아 지금 먹은 부위가 기름도 많지 않고 쫄깃쫄깃 딱 좋다 싶은 느낌이 들 때가 있는데 그 부위를 골라서 찌개를 끓인 느낌이다. 쫄깃쫄깃한 갈매기살을 사용해도 맛있다.


기분 탓인지 진짜 그런지 무쇠솥에 찌개나 국을 끓이면 물이 덜 줄어드는 것 같다. 그리고 등심덧살은 오래 끓일 필요가 없이 익기만 하면 쫄깃쫄깃 맛있어서 채소를 넣기 전에 끓이는 시간을 줄였다. 그래서 전에는 육수를 600미리 넣었는데 이번에는 530미리만 사용했다.


전에는 친수피시소스말고 새우젓국물을 사용했었는데 그것도 냉동실 깊이 들어있는 새우젓을 꺼내기 귀찮아서 자주 쓰는 친수피쉬소스를 사용했다. 결론은 둘 다 맛있다. 액젓을 사용해도 괜찮다.




재료

돼지고기 등심덧살 500그램
고운고춧가루 1스푼
고춧가루 1스푼
멸치황태육수 500~600미리
미림 1스푼
다진마늘 1스푼
국간장 1스푼
친수피시소스 1스푼
양파 1개
대파 1대
청양고추 3개
애호박 1개
두부 1모





1. 애호박은 약간 도톰하게 채썬다.
양파와 대파는 반으로 갈라 채썰고 고추는 어슷하게 썬다.
두부는 먹기 좋은 크기로 썬다.


2. 한 입 크기로 썬 돼지고기를 냄비에 넣고 달달 볶는다.


3. 고기가 익어서 냄비 바닥에 돼지기름이 약간 있는 상태에서 고춧가루를 넣고 타지 않게 달달 볶는다.
사용하는 고기의 부위에 따라 바닥에 깔리는 기름이 부족할 수 있는데 이때는 식용유를 0.5스푼 정도 넣는다.


4. 육수를 붓고 중불에 10분정도, 고기가 먹기 좋게 익도록 끓인다. 끓이는 동안 다진마늘, 국간장, 피시소스, 미림을 넣는다.
*처음부터 끝까지 중불을 유지하는데 국물이 부족하도록 졸아드는 것 같으면  뚜껑을 덮고 약불로 줄인다.
*고기는 불의 세기나 돼지고기의 부위에 따라 먹기 좋도록 익는 시간이 다르다. 채소를 넣기 전에 고기를 하나 먹어보고 고기가 단단하다 싶으면 5~10분정도 더 끓이는데 육수가 졸아들면 육수를 반컵정도 추가한다.


5. 돼지고기가 부드럽게 먹기 좋으면서도 국물이 어느정도 자작한 상태로 익으면 간을 봐서 한 번 간을 보고 짜면 물을 약간 넣고, 약간 싱거우면 부족한 간은 국간장으로 간을 채운다.
*채소와 애호박을 넣기 직전에 아주 약간 짭짤하다 싶도록 간을 맞추면 채소와 두부를 전부 넣어서 완성한 찌개의 간이 약간 심심한 정도로 먹기 좋게 완성된다.


6. 여기에 양파, 대파, 고추를 넣고 끓으면 2~3분정도 끓인다.


7. 두부와 애호박을 넣고 애호박과 두부가 자박자박 잠기도록 국물을 끼얹고 국자로 살짝 눌러줘서 익힌다.
애호박이 너무 흐물흐물하지 않도록 4~5분정도 끓이면 완성.
80~90%정도 익힌다는 느낌으로 살짝 사각사각하게 익혀서 밥상에 놓고 2~3분정도 식사준비를 하다보면 남은 열로 딱 먹기 좋게 잘 익는다.



1.

IMG_6035.JPG

(애호박찌개를 만들며 사진 찍을 땐 이렇게 썰었는데 사진 안찍고 끓여먹을 때는 애호박을 세로로 4등분해서 씨를 전부 제거하고 사용하고 있다. 된장찌개에 자주 그러는 것처럼.. 이유는 어릴 때부터 호박 단호박 애호박을 다 안먹고 편식했는데 애호박은 지금은 그나마 씨를 빼면 잘 먹어서.. 애호박 씨를 빼면 애호박 양이 줄어서 단맛이 줄어드니까 애호박을 1.5~2개 사용한다.)




IMG_6028.JPG



IMG_6032.JPG



IMG_6031.JPG



IMG_6037.JPG



2.

IMG_6040.JPG



IMG_6042.JPG



3.

IMG_6045.JPG



IMG_6048.JPG



4. 5.

IMG_6055.JPG



6.

IMG_6058.JPG



IMG_6063.JPG



7.

IMG_6066.JPG



불을 끄기 전에 고기가 부드럽게 잘 익었는지, 애호박은 먹기 좋게 익었는지, 국물 간은 어떤지 한 번 먹어보고 불을 껐다.

IMG_6069.JPG




완성.

IMG_6087.JPG




IMG_6087-.jpg




IMG_6102.JPG




IMG_6104.JPG


국물 간을 두세번 봤으니까 당연히 짜지 않고 얼큰하니 입맛에 딱 맞다.

고기와 채소, 두부의 적절한 밸런스가 아주 좋다. 돼지고기와 고춧가루를 볶으며 나온 고추기름이 자글자글 고소하게 맛있고 애호박과 양파에서 우러난 단맛이 은은하게 뒷맛을 받쳐준다.






Articles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