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기

간단 육수불고기

by 이윤정 posted Dec 29, 202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IMG_6013.JPG




불고기전골, 뚝배기불고기라고도 부르는데 이번에는 육수불고기로 제목을 정해봤다.


완전 간단 초간단이니까 아래 내용 넘어가고 재료와 과정만 보면 굿이다.



불고기나 돼지갈비 등을 만들 때는 대량으로 미리 만드는 양념장을 만들다가 요즘에는 간단한 것도 하려고 한다는 이야길 한 적이 있다.
9월에는 간단 LA갈비구이 https://homecuisine.co.kr/96519
10월에는 간단 소불고기 https://homecuisine.co.kr/97218
11월에는 간단 돼지갈비 https://homecuisine.co.kr/98832
12월에는 간단 육수불고기.



배는 장기간 냉장보관이 가능하니까 명절이나 제사 때 받아온 걸 개별포장했다가 냉장실에 넣어두고 사용하고 있다.

이런 간단 육수불고기 만들자고 배를 사자며 마트에 가면 낱개로 팔지 않는 경우도 많고 비쌀 때도 많고, 제철에도 비쌀 경우가 있으니 사기 망설여지고 제철이 아닐 때는 좀 막막하긴 하다. 그래서 배즙을 시판 배주스로 대체하는 경우가 많은데 아주 오래전에 배주스를 불고기에 사용해보니 (내 취향)애매한 향과 맛이 음식에 안맞아서 이후로는 다시는 사용해 본 적이 없다. 지금 그 배주스가 얼마나 개선되었는지는 모르겠지만 (내 취향)비추.. 배가 없다면 배 대신 양파를 강판에 갈아서 사용하는 것이 괜찮은 대안이다. 



육수는 멸치황태육수를 우려서 사용하면 가장 좋지만 육수 우리기가 너무 귀찮아서 사 둔 멸치진국을 사용했다. 예전 이름인 멸치진국이 편해서 자꾸 멸치진국이라고 하는데 지금 이름은 청우만능멸치육수이다.  멸치진국20그램+물380그램으로 육수 400그램을 준비하니까 편해지는 내 인생..
(멸치진국과 닭육수진국을 같이 구매했는데 멸치진국에 비해 닭육수 진국의 활용성이 좀 떨어진다. 둘 다 적당히 테스트해보고 있는데

입맛보다 살짝 싱겁게 간을 맞추고 그 다음에 부족한 걸 채우면 실패가 없다.

불고기에는 닭육수진국보다는 향이 좀 약한 멸치진국을 소량 사용하면 육수대신 괜찮은 편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재료


샤브샤브용 소고기 500그램
배 3분의1개 (크기에 따라 최대 2분의1개) (100그램)
다진 마늘 2.5스푼 (50그램)
간장 4스푼 (60그램)
설탕 1.5스푼 (20그램)
미림 1스푼 (15그램)
친수피시소스 1스푼 (필요하면 1티스푼 더)
후추 약간


대파 흰부분 2대 (100그램)
양파 1개 (200그램)
팽이버섯 1봉투
당면 100그램 (불린 후 200그램)
멸치황태육수 400그램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간은 0.7%에 맞췄다.
재료를 전부 합하면 1700그램정도 되는데 0.7%로 간하면 소금이 12그램 필요하다.
소금의 양을 간장으로 환산하면 80그램이고, 간장 60그램 + 친수피시소스 16그램으로 환산하면 0.7%가 된다.

국물요리니까 설탕의 양은 간장 양의 3분의1로 잡는데 불고기답게 살짝 달달한 느낌이 도는 정도이다.


샘표양조간장 701
자일로스설탕
오뚜기 옛날 사리 당면 100g
롯데 미림
친수 피시소스
를 사용했다.


당면사리를 사용했는데 감자사리를 사용하는 것도 좋(아한)다. 떡국떡도 소량 넣으면 잘 어울린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간단하게 하려고 이야기를 쪼끔 많이 했지만 만들어보면 과정은 완전 간단하다.

준비한 재료를 냄비에 착착 넣고 끓이면 끝.



1. 당면은 최소 1시간이상 불려서 준비하고 멸치육수도 미리 우려둔다.
2. 강판에 배를 갈아서 준비한다.
3. 대파는 반으로 갈라서 얇게 채썰고 양파도 얇게 채썬다. 팽이버섯은 밑동올 자르고 물에 헹궈서 물기를 빼서 준비한다.
4. 샤브샤브용 고기를 냄비에 넣는다.
5. 양념을 분량대로 넣는다.
6. 그 위에 준비해 둔 채소와 당면을 올린 다음 육수를 붓는다.
7. 당면이 투명하게 익을 정도로 잘 저어가면서 끓인다. (중간에 간보기)

끓기 시작하면 간을 보는데 취향에 따라 간이 부족하면 피시소스를 1티스푼 넣어서 입맛에 딱 맞추면 적당하다.

고기가 얇아서 금방 익으니까 고기 익는 걱정은 필요없고 당면만 익고 국물이 간에 맞으면 완성이다.


불고기를 양념에 무치거나 할 것도 없이 재료 준비한대로 착착 넣어서 끓이기만 하면 되니까 완전 편하다.




1

IMG_5969.JPG




IMG_5971.JPG





2

IMG_5960.JPG




IMG_5962.JPG




3

IMG_5964.JPG




IMG_5966.JPG




IMG_5967.JPG




4

IMG_5972.JPG



(원래는 아래처럼 생긴 이쁜 샤브샤브용 고기였는데 대량구매하고 냉동고에 넣어두니까 다른 냉동식품과 성에의 공격을 받아서 많이 눌렸다..

샤브샤브용 소고기는 얇게 슬라이스하기 때문에 질감이 가벼워서 불고기나 전골에 두루 사용하기 편하다.)

IMG_5168.JPG




5 .고기에 분량대로 양념추가.

(어차피 7~8분동안 골고루 잘 익게 끓일 거라서 굳이 번거롭게 손으로 (혹은 비닐장갑을 사용해서) 소고기를 양념에 무치지 않아도 괜찮다.)

IMG_5973.JPG




6 준비한 재료 추가

IMG_5978.JPG




IMG_5983.JPG




IMG_5984.JPG




IMG_5988.JPG





7. 육수의 간이 맞으면서 당면이 투명하게 잘 익도록 7분정도 익힌다. 끓기 시작하면 간을 봐서 입맛에 간이 부족하면 피시소스를 1티스푼 넣어서 입맛에 맞게 간을 딱 맞춘다. (나는 더 넣지 않고 이대로 완성했다.)


샤브샤브용 고기는 얇으니까 익힘 정도에 대한 걱정은 할 필요가 없다. 국물의 간이 딱 맞으면서 당면이 투명하게 잘 익도록 시간을 조절하면 끝.

IMG_5998.JPG




완성.


호로록한 질감의 당면도 좋고 채소도 잘 익었고 고기도 부드럽고 촉촉하니 먹기 좋다. 양파가 듬뿍이라 국물이 살짝 달긴 한데 간도 입맞에 맞아서 여러모로 적당하다.


IMG_6013.JPG




IMG_6013-.jpg




IMG_6027.JPG





잡담.


고기양념이란 게 원래 뭐 특별할 게 없으니 간단한데 그래도 맛있으면 좋으니까 대량 레시피로 공들여 만들고 두루 사용할 수 있도록 했었었다.

불고기양념 - https://homecuisine.co.kr/hc10/64082


원래는 간단했다가 복잡해졌던 레시피를 다시 간단하게 풀어서 각 음식에 완성상태에 맞는 간단레시피를 만들겠다고 나름 생각한 다음,

계산기로도 검증도 많이 했으며 만드는 입장에서는  최소한의 수고로 최대의 아웃풋 원했는데 지금 보니 그렇게 하길 잘한 것 같다. = 맛있음ㅎㅎ


그치만 이 쉬운 것도 넘 귀찮으니까 사흘 후의 내년에는 무수고 무아웃풋으로 돌멩이처럼 살아야지...

돌멩이도 과하고 그냥 송도 앞바다 모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