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접시, 일품

녹두빈대떡, 빈대떡 만들기

by 이윤정 posted Jul 07, 20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2014/07/07

녹두빈대떡

 

 

 0.JPG

 

 

 

 

 

전에 살던 곳 근처의 범일 빈대떡을 좋아하는데 그 근처에서 지금 사는 송도근처로 이사오고 나서는 자주 가기가 편하지 않다.

범내골에 살 때는 빈대떡은 뭐 귀찮게 해먹고 그러나 사먹으면 되지 싶었는데 아직도 가끔 가서 사먹긴 하지만, 집에서 만들기 시작하니 사먹기보다 해먹는게 더 속편하기도 하고.. 왠지 모르겠다. 사먹으면 편한데 귀찮다고 그러면서도 굳이 하고 있는 이 마음을;;

무엇보다 남편이 빈대떡을 엄청 좋아하는데 근처에서 먹고 입맛에 안맞으면 먹고나서 꼭 맛없다며 집에서 해먹으면 맛있긴 한데 손이 많이 가니까 범일동에 가자며 늘 그런다.

 

 

 

사용한 재료는 약 4장 분량으로

녹두 250그램, 물 약간, 찹쌀가루 2스푼

숙주 200그램, 돼지고기 100그램 (밑간으로 간장, 다진마늘, 참기름약간), 김치 두 줌, 청양고추 5개, 홍고추 1개

 

돼지고기에 밑간을 한 것도 있고 김치에도 간이 있으며, 초간장에 찍어먹을거라 따로 소금간은 하지 않았다.

초간장은 간장, 물, 식초, 고춧가루를 대충 넣어서 만들었다.

 

 

국산 깐녹두를 사용하기는 했는데 30% 정도는 껍질이 있어서 말이 깐 녹두지 대충 깐 녹두였다.

녹두는 물에 서너번 씻은 다음 찬물에 1시간 정도 담가서 불린 다음 시간을 두고 천천히 남은 껍질을 벗겼다.

주물러가면서 벗기다가 물에 씻어가면서 벗기고 어쨌든 껍질 한 조각 남지 않게 꼼꼼하게 껍질을 벗겼는데

빈대떡을 만드는 시간 중에 가장 시간이 많이 드는 빡침유발인자였다..

어쨌든 이렇게 녹두만 불려서 껍질을 벗기면 나머지 과정은 편하니까.. 하며 열심히 참아가며 노랑노랑한 녹두 한 그릇을 얻었다.

녹두껍질 벗긴 고생을 하니까 당장 빈대떡 먹을 생각이 생기지가 않아서 다음날 만들기로 하고, 녹두를 물에 담가두면 싹이 날까봐 물기를 빼고 하룻동안 냉장했다.

 

 


크기변환_DSC01057.JPG     크기변환_DSC01088.JPG


 

다음날.

 

고추는 씨를 빼서 얇게 채썰었다. 청양고추는 자꾸 만지면 손이 아프니까 최소한으로 만지기 위해

씨줄기를 횡으로 잘라주고 반으로 가른 고추 속의 양끝을 칼로 도려내면 손이 덜 아프다. 

   
%C5%A9%B1%E2%BA%AF%C8%AF_DSC09439.jpg     %C5%A9%B1%E2%BA%AF%C8%AF_DSC09440.jpg

 

크기변환_DSC01093.JPG     크기변환_DSC01094.JPG

 

 

 

 

 

김치는 꼭 이렇게 씻을 필요는 없고 속을 털어내고 꾹 짜면 되는데 씻어둔 것이 있어서 이걸로 사용했다.

김치는 잘게 썰고 데친숙주는 숭덩숭덜 썰어두고 돼지고기 안심은 채썰어서 밑간 한 다음 볶아냈다.

 


크기변환_DSC01090.JPG     크기변환_DSC01091.JPG


크기변환_DSC01092.JPG

 

크기변환_DSC01095.JPG     크기변환_DSC01096.JPG

 

 

 

 

 

 

이렇게 반죽에 넣을 재료를 다 준비한 다음 녹두를 갈기 시작했다.

녹두는 옛날식으로 맷돌...에 갈면 물이 필요없지만 블렌더나 믹서에 갈기 위해서는 물을 2스푼 정도 넣어야 잘 갈리는데, 미리 갈아두면 물과 분리될 뿐만 아니라

재료를 섞은 다음 오래 두면 상하기 쉽고 끈기가 떨어진다.

 

원래 녹두전에는 찰기를 주기 위해 불린 찹쌀을 약간 넣고 갈기도 하는데 찹쌀대신 찹쌀가루를 넣어서 녹두를 갈 때 물을 넣은 점을 보완했다.

 



크기변환_DSC01097.JPG     크기변환_DSC01098.JPG

 

 

 

 

 

준비는 다 끝났고, 다 섞어서 부치기만 하면 되니까 마음이 편해지기 시작했다.

 



크기변환_DSC01099.JPG


 

 

 

 

크기변환_DSC01100.JPG

 

 

 


 

크기변환_DSC01101.JPG

 

 

 


 

크기변환_DSC01103.JPG


 

 

 

재료를 다 함께 섞은 다음 기름을 넉넉히 두른 팬을 적당히 달구어서 앞뒤로 노릇노릇하게 지져내면 끝.

약간 센 불에서 겉을 노릇노릇하게 지진 다음 불을 약간 낮춰서 속까지 익히면 되는데 두꺼우면 약불로, 그리 두껍지 않으면 중불정도가 좋다.

이정도 되는 빈대떡이 딱 4개가 나왔다. 하나 부치고 하나먹고, 먹으면서 부치고, 먹으면서 부치고를 반복해서 약간 정신없긴 했지만 딱 바삭하고 맛있게 잘 먹었다.

식초, 고춧가루, 물, 간장을 넣은 초간장에 찍어 먹었다.

 


크기변환_DSC01110.JPG

 

 

 

 


 

크기변환_DSC01107.JPG

 

 

 

 

 

노릇노릇 바삭하게 갓 부친 빈대떡은 속은 고소하고 겉은 바삭해서 사먹어도 맛있고 해먹어도 맛있고 막 좋다.

녹두 껍질 까는 번거로움이 커서 그렇지 자주 해먹을만 하다.

전에는 김치, 고기 고명을 반죽에 섞지 않고 위에 올려서 부쳤는데 이번에 섞어서 해보니 맛은 크게 안다르고 섞는 것이 부치기 더 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