ㅡㅡㅡㅡㅡㅡㅡ까지 잡담이다.
지금 보니 제목에 김치참치볶음밥을 쓴 것이 5년만이다. 아주 일상적인 볶음밥이라 일상적인 게시글 여기저기 껴서는 올렸어도 일부러 이것만 따로 올릴 일이 거의 없었는데 바특하게 만드는 이야기는 안해 본 것 같아서 오랜만에 따로 분리해봤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김치도 참치도 수분이 많은 재료이기 때문에 김치참치볶음밥은 질척해지기 십상인데 이 볶음밥이 질척이지 않는 포인트는 김치와 참치 각각의 수분을 잡는 것이다.
먼저 참치. 전부터 자주 이야기 했듯이 참치의 수분이 없어야 하는 음식에는 https://homecuisine.co.kr/hc10/70806 이렇게 먼저 캔 참치를 전부 팬에 넣어서 볶아서 사용한다.
다음으로 김치. 김치는 취향에 따라 국물을 꽉 짜고 볶아도 좋은데 김치볶음밥에 김칫국물이 적당히 들어가서 간이 된 것도 좋아하고 김치가 푹 익은 것도 좋아해서 김치를 따로 조리했다. 김치에 물을 약간 붓고 뚜껑을 덮어서 마음에 들도록 익힌 다음 뚜껑을 열고 식용유를 약간 붓고 볶아서 수분을 거의 다 날려서 사용했다.
따로따로 수분이 날아간 상태로 볶음밥을 하니까 볶음밥이 질척하지 않으면서 김치는 취향에 딱 맞는 정도로 익히고 참치는 기름과 육즙을 그대로 익히니까 맛도 풍성해서 완성한 볶음밥의 상태가 아주 적절해진다.
tmi. 레시피는 2인분인데 위 사진은 밥이 모자라서 밥 외의 재료만 2인분이고 밥만 1.5인분인 상태이다. 김치참치볶음밥은 밥이 적을수록 볶음밥이 더 질척해지는데 밥이 적어도 전혀 질척하지 않고 고슬고슬하게 잘 완성된 것을 볼 수 있다고 말하려니까 왠지 좀 웃긴데ㅋㅋ 어쨌든 그렇다ㅎㅎ
ㅡㅡㅡㅡㅡㅡㅡㅡ
사용한 재료는
김치 4~5잎 (크기에 따라)
다진마늘 0.5~1스푼
고운고춧가루 약간
캔참치 250그램 1캔
대파 1대 넉넉히
밥 2그릇
소금, 후추, 참기름
이 끝이다. 간단하다. 마지막에 간을 보고 부족한 간을 할 때 소금 대신 맛선생이나 다시다로 간을 하면 더 사먹는 맛에 가깝다.
볶음밥에 간장이나 굴소스도 자주 사용하는 편이지만 김치볶음밥에는 가루조미료가 좀 더 잘 어울린다. (사먹는 맛)
신선하고 바스락바스락한 맨 김으로 볶음밥을 싸서 먹으면 완전 맛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밥은 미리 고슬고슬하게 지은 다음 바로 일궈서 김을 빼고 식힌다. 이번에는 전날 먹고 남아서 냉장고에 넣어 둔 식은 밥을 사용했다.
위에도 이야기했듯이 아삭아삭하게 볶은 김치 말고, 푹 익은 김치를 넣은 볶음밥이 좋아서 김치에 물을 약간 붓고 푹 익혔다.
김치는 잘게 썰면 더 금방 익는데 도마 쓰기가 귀찮아서 가위로 대충 잘라서 사용했다.
김치에 김칫국물을 몇 스푼 넣고 물 약간 붓고(불에 세기 따라서 물 조절), 고운고춧가루와 다진마늘을 각각 0.5~1스푼 정도 넣고 뚜껑을 덮어서 중불로 10분정도 익혔다.
(익히는 중)
수분이 거의 없어지면 뚜껑을 열고 식용유를 약간 넣고 남은 수분을 날려가며 3~5분정도 바특하게 볶았다.
이 상태에서 김치 간을 봐서 너무 새콤하면 설탕을 조미료 뿌리듯이 약간 넣어도 좋다.
그동안 계란은 기름을 약간 넉넉하게 두르고 튀기듯이 구워두었다.
기름을 넉넉하게 두른 팬에 계란을 넣고 가장자리가 짜글짜글하게 구워지면 뜨거운 기름을 숟가락으로 떠서 계란 위에 몇 번 뿌려주면 흰자는 익고 노른자는 그대로다.
인데 노른자가 터져서 윗면 전부에 기름을 끼얹으면서 구웠다.
뒷면.
다른 팬에 참치 250그램 한 캔을 전부 넣고 참치가 바특해지도록 볶다가 잘게 썬 대파도 듬뿍 넣고 함께 볶았다.
잠시 불을 끄고 여기에 미리 지어서 식힌 밥을 넣고 밥의 낱알이 분리되도록 잘 비빈 다음
다시 불을 켜서 달달 볶다가
미리 푹 익히고 바특하게 볶은 김치를 넣고 잘 비벼가며 볶았다.
간을 보고 필요하면 소금간을 약간 하고 후추와 참기름을 약간 넣어서 마지막으로 조금 더 볶으면 완성.
짜글짜글하게 구운 계란 후라이를 얹으면 딱이다.
잘 익은 김치가 먹기 딱 좋고, 참치도 듬뿍 들어간 볶음밥이 질척하지 않고 바특하니 맛있다.
한국사람답게 김치볶음밥에 잘 익은 김치를 얹어서 먹었다. 역시 더 맛있다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