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접시, 일품

오리엔탈드레싱, 차돌박이숙주볶음

by 이윤정 posted Jun 07,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오리엔탈드레싱, 차돌박이숙주볶음

 

 

 

크기변환_DSC01697.JPG

 

 

 

 

먼저 오리엔탈 드레싱.

 

 

 

 

재작년에 올린 오리엔탈드레싱과 거의 똑같다.

오리엔탈 드레싱은 늘 이렇게 만들고 있어서 다를 것은 없고(=발전없음) 구운 파프리카 양에 따라 비율을 계산해서 가감하며 만들고 있다.

 

 

기본 비네그레트 드레싱에 간장을 베이스로 더한 오리엔탈드레싱.

이 드레싱의 이름이 왜 오리엔탈인지는 이유를 정확히 알아보지 않아서 모르겠지만,

오일, 간장, 식초, 설탕을 베이스로 하는 드레싱을 주로 오리엔탈드레싱이라고들 한다.

고기와 야채가 함께 들어가는 음식에 두루두루 잘 어울린다.

 

 

 

전체 비율은

올리브오일 3 : 간장 2 : 설탕 1.5 : 화이트와인식초1.5 : 홀그레인머스타드 0.7 : 레몬즙 0.3 :

채소는 대충 양파 2 : 마늘 0.7 : 구운 파프리카 1.5

 

 

이 비율대로 스푼으로 넣어서 만들어도 적당한데 구운 파프리카의 양에 따라 전체 양을 조절해서 아래와 같이 사용했다.

아래 양은 꽤 많으니까 반만 만드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올리브오일, 간장, 설탕, 식초를 입맛에 맞게 배합했다면나머지 재료는 취향에 따라 대충 넣으면 되겠다. 

 

 

양파 100그램

구운 파프리카 100그램

마늘 40그램

씨겨자 40그램

레몬즙 20그램

  

간장 120그램

설탕 90그램

화이트와인식초 90그램

 

올리브오일 180그램

 

 

 

오일, 간장, 설탕, 식초, 겨자, 레몬즙은 계량하기가 편한데 마늘, 양파, 파프리카는 준비한 양이 초과되건 모자라건 있는대로 대충 넣었다.

그렇게 있는 대로 넣어서 계량한 것이 위에 쓴 분량에 거의 가깝다.

 

기본적으로 들어가는 오일, 간장, 식초, 설탕, 홀그레인머스타드에 채소로 구운 파프리카, 금방 깐 신선한 마늘, 햇양파를 더했다.

식초는 향이 강한 발사믹식초만 제외하면 보통 양조식초나 사과식초, 와인식초 등 간만 맞다면 어느 식초를 사용해도 잘 어울렸다.

 

 

파프리카는 직화로 불에 구워서 겉이 까맣게 타도록 익으면 조직이 연해지고 단맛이 응축되면서 특유의 훈연된 듯한 맛이 좋은 풍미를 가진다.

이렇게 로스팅 한 파프리카는 쓰임도 다양해서 구운 파프리카를 바로 마리네이드를 해서 전채나 샐러드로 먹기도 하고 피자토핑 등에도 잘 어울린다.

스튜나 파스타에 넣기도 하며 갈아서 퓌레를 만들어 소스나 드레싱의 유화제로 쓰기도 한다.

 

 

드레싱은 맛을 내는 재료가 단순하고 재료의 맛이 직접적으로 느껴지기 때문에

드레싱 재료의 맛이 최종적으로 완성하는 음식의 맛을 좌우하기도 하기 때문에 당장에 해결 할 수 있는 것 중에 최대한 신선한 재료를 쓰려고 노력한다.

엑스트라버진 올리브오일의 질이 가장 좋은 것으로 산도가 0.5%미만인 것으로 사고 간장도 나름대로 좋은 것을 사용했다.

 

 

풍미를 더하기 위해서는 월넛오일과 같은 견과류오일을 섞어서 쓰면 좋고,

냉장고에 넣어도 굳지 않기를 원하면서 단가도 조금 낮게 쓰려면 포도씨오일을 섞어서 쓰는 것도 좋다.

 

 

 

 크기변환_DSC08597.JPG     크기변환_DSC08598.JPG

 

크기변환_DSC01678.JPG     크기변환_DSC01679.JPG


크기변환_DSC01680.JPG     크기변환_DSC01682.JPG

 

크기변환_DSC08607.JPG

     

 

곱게 다질수록 소스에 잘 섞이기 때문에 될수있는 한 채소들은 곱게 다지는 것이 좋다.

드레싱을 만들자마자 사용하면 설탕이 녹지 않아서 맛에 균형이 없으니까 적어도 하루는 미리 만들어 두는 것이 좋다.

 

 

 

 

 

 

 

 

 

차돌박이 숙주볶음

 

 

 

차돌박이를 구워서 그 기름에 강한 불로 숙주를 볶아내고 다시 합쳐서 살짝 더 볶은 다음 굴소스로 간만 해서 쪽파 정도 뿌리면 맛있는 차돌박이 숙주볶음이지만

오리엔탈 드레싱을 만들었으니 차돌박이와 숙주를 따로 볶아서 드레싱을 얹어서 먹었다.

 

 

 

 

숙주는 깨끗하게 다듬고 물기를 바짝 털어두고 드레싱도 준비해두었다.

차돌박이는 센 불에 얼른 구워서 접시에 담아 호일을 씌워 두고 남은 기름은 숙주를 볶을 웍에 부었다.

 

 


크기변환_DSC01685.JPG     크기변환_DSC01686.JPG


 

 

 

 

웍을 센 불을 올려서 숙주는 차돌박이 기름에 최대한 빨리 볶아내고 접시에 얼른 담았다.

 

 


크기변환_DSC01687.JPG    크기변환_DSC01689.JPG


크기변환_DSC01691.JPG

 

 

 

 

 

밥상에 반찬이 숙주볶음 하나에 김치 뿐이라 차돌박이를 구우면서 계란도 세개 부쳤다.

 

 

 

크기변환_DSC01688.JPG     크기변환_DSC01699.JPG

 

 

 

 

 

 

 

숙주와 차돌박이에 오리엔탈 드레싱을 적당히 뿌리고 쪽파를 약간 뿌려서 완성.


 


크기변환_DSC01693.JPG

 

 

 

 

 

 

크기변환_DSC01697.JPG

 

 

 

크기변환_DSC01698.JPG


 

 

드레싱 때문에 음식의 전체 온도가 떨어지는 것이 약간 아쉽지만

풍미가 있으면서 짭짤하고 살짝 새콤달콤한 오리엔탈 드레싱에 차돌박이와 숙주를 볶아낸 것이 맛의 조화는 괜찮은 편이다.

 

넉넉하게 만들어 둔  오리엔탈 드레싱으로는 뭘 할지 고민해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