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 찌개

경상도식 소고기뭇국

by 이윤정 posted Feb 27,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경상도식 소고기뭇국

 

 

 

 

0.JPG

 

 

 

 

평소 국거리를 넉넉하게 사서 통째로 냉동했다가 하나씩 꺼내쓰고 있다.

떨어지면 다시 주문하고..

 

 

소고기국으로 맑은 국도 좋지만 늘 먹어온 얼큰한 소고기 뭇국이면 밥 한끼가 금방이다.

자주도 올린 얼큰한 소고기뭇국이지만 두번 더 해먹고 내용도 중복되는 것이 많지만 또 올려본다.

 

맑은 소고기 무국은 여기 - http://www.homecuisine.co.kr/index.php?mid=hc10&category=207&document_srl=11464

 

 

사용한 재료는

 

양지 400그램

무 작은 것 1개

황태육수 약 1~1.5리터

 

다진마늘 2스푼

고춧가루 1~2스푼 듬뿍

국간장 4스푼

 

대파 1대

숙주 200그램

 

 예전에도 자주 올린 내용인데

간은 국간장으로 물을 부은 양에 따라 조절하는데 국간장의 염도가 보통 약 25%정도 되니까

국간장의 염도가 25%라 칠 때 국물 염도를 1%정도 맞춘다면 

국을 끓여서 최종적으로 될 국물의 양 1리터당 약 국간장 42미리 (3스푼 조금 못되게)를 넣어야 산술적으로 맞다.

1%면 사람에 따라 짜다고 느낄 수 있으므로 0.7%에 맞추면 30미리(2스푼)가 필요하다.

1시간동안 서서히 국물이 졸아드니까 졸아들 양을 고려해서 물을 넉넉하게 넣고 만들면 간이 맞고,

염도를 생각했다 하더라도 입맛은 다들 다르고 육수에도 염도가 있고 간장의 염도도 다 다르니까 대략적인 양만 생각하고 마지막에는 간을 맞춰야 간이 맞다.

 

 

한우양지는 살짝 헹궈서 굽기 좋도록 겉의 물기를 닦고, 무는 나박나박 썰어서 준비했다.

소고기를 삶으면서 무는 썰고 숙주 다듬고.. 마늘, 국간장, 대파 역시 소고기를 충분히 익힌 다음 쓸거니까 천천히 준비했다.

 
 

크기변환_DSC07944.JPG     크기변환_DSC07945.JPG


 

 

 

냄비에 양지를 앞뒤로 노릇노릇하게 구워서 황태육수를 아주 넉넉하게 부은 다음 끓이기 시작했다.

 

 

 

크기변환_DSC07946.JPG     크기변환_DSC07947.JPG

 

 

 

끓기 시작하면 거품 떠오른 것은 걷어낸 다음 중불로 낮춘 다음 1시간이 조금 넘도록 푹 끓여냈다. 중간에 물이 졸아들면 물을 더 추가했다.

아래 내용은 이전 포스팅에서 복사..

국을 끓일 때에는 국에 들은 재료와 육수가 잘 어우러져야 하는데 물은 어차피 100도에서 더 올라가지 않으니 굳이 센불에 펄펄 끓도록 하지 않아도 된다.

강한 불로 재료의 변형을 줄 필요도 없고, 너무 높은 온도에서 끓이면 유화가 일어나 국물이 더 탁해진다. 끓고 있다는 것만 알 수 있을 정도로 중약불에 하면 충분하다.

특히 뚜껑을 덮은 경우에는 내부의 온도가 쉽게 떨어지지 않고 열이 내부에서 대류하기 때문에 더욱 더 높은 온도에서 끓일 필요가 없다.

덩어리의 고기로 국을 끓였다면 내부까지 익으면서 고기에서 국물이 더 배어나오기 때문에 오래 끓일수록 국물맛도 더 좋아진다.

 

 

 

소고기를 삶는 동안 무를 썰고 숙주나물도 다듬고 마늘도 다듬고 다지고 하니 1시간이 금방 지나갔다.

 

 

크기변환_DSC04204.JPG     크기변환_DSC04200.JPG


 

 

 

고기+육수에 고춧가루, 다진마늘, 국간장을 넣고 무가 푹 무르고 고춧가루가 겉돌지 않으면서 색이 잘 들고 간이 맞도록 40분정도 중약불에 끓여냈다.

 

 

크기변환_DSC07948.JPG     크기변환_DSC07949.JPG


 

 

 

 

 

무를 익히면서 중간에 고기를 건져서 만질 수 있을 정도로 식으면 얇게 썰어서 다시 국에 넣었다.

썰면서 맛을 봤는데 부들부들한 것이 맛있었다..

 
 

크기변환_DSC07951.JPG     크기변환_DSC07952.JPG

 
크기변환_DSC07953.JPG     크기변환_DSC07954.JPG

 

 

 

 

고기는 썰어서 다시 국에 넣고 무가 스푼으로 가볍게 눌러도 으깨질 정도로 익으면 마지막으로 대파와 숙주를 넣고 조금 더 끓이다가 간을 보면 완성.

 


크기변환_DSC07950.JPG     크기변환_DSC07955.JPG


크기변환_DSC07956.JPG     크기변환_DSC07957.JPG

 

 

크기변환_DSC07958.JPG     크기변환_DSC07960.JPG

 

 

 

 

중간에 봐서 국물이 모자라면 팔팔 끓는 물이나 생수를 추가하고 간을 보고 싱거우면 국간장을 조금 더 넣고 마지막에는 간을 보고 필요에 따라 소금을 약간 넣기도 하는데

4~6인분 정도 되는 양이니까 다시 끓여 먹을 것을 생각해서 약간 싱겁게 완성하는 것도 좋아한다.

 

 

 

 

국물은 간도 딱 맞고 양도 적당한 수준인데 건더기가 그득했다.

 


 

크기변환_DSC07964.JPG

 

 

 

 

 

 

0.JPG

 

 

 

 

크기변환_DSC07967.JPG

 

 

 

 


 

크기변환_DSC07969.JPG


 

 

완전 보드라운 양지에 얼큰한 국물과 잘 으깨지는 무, 숙주까지 내가 딱 좋아하는 소고기무국이었다.

 

 

남은 국은 냉장고에 넣어뒀다가 다음날 데워먹었는데 역시 데워 먹는 국이 더 맛있었다. 늘 하는 말이긴 한데;; 누가 해 준 것 같고 좋았다.....

 

 

 

크기변환_DSC07971.JPG


 

 

 

 

 

 

 

다른날 엄마께 국거리 잘게 썬 것을 받아와서 소고기를 바특하게 볶다가 무를 넣고 고춧가루, 다진 마늘과 함께 달달 볶은 다음

물을 넉넉하게 붓고 국간장을 넣고 50분정도 푹 끓여내서 만들었다.

중간에 싱겨워서 고춧가루를 조금 더 넣고 마지막에 대파만 넣어서 간단하게 끓였다.

 

 

 

크기변환_DSC05124.JPG     크기변환_DSC05125.JPG


크기변환_DSC05126.JPG     크기변환_DSC05127.JPG


크기변환_DSC05128.JPG     크기변환_DSC05135.JPG


크기변환_DSC05142.JPG

 

 

 

 

숙주가 있으면 더 좋았겠지만 없어도 고기가 좋아서 그런지 단순한 재료로도 국이 맛있었다.

 

계란말이 하나 곁들이고 밥 말아서 밥상을 차렸다.

밥을 푹푹 말아서 훌훌 잘 넘어가는, 얼큰한 소고기뭇국이었다.